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뉴스
"
문명
"(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3000년 前 농사-가축사육이 지구생태계에 영향 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둘러싸고 지질학계와 고고학계의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지질학계는 핵실험 등 현대
문명
의 부작용이 본격화된 1950년을 인류세의 시작이라고 주장하지만 고고학계는 현생 인류가 정착 생활에 접어들면서 농사와 가축 사육 등으로 지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 ...
인더스
문명
의 비밀, 게놈으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않았기 때문이다. 인더스
문명
은 농업을 독자적으로 탄생시킨 셈이다. 한편 인더스
문명
이 붕괴된 뒤 인더스인들은 동남아시아인들과 섞였다. 러시아 모스크바 남쪽 부근 초원지대(스텝)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유목민 얌나야족과도 섞였다. 이렇게 형성된 혼혈 인더스인들이 지금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근대화의 길을 걸을 수 있었던 원동력도 대규모 번역이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현대
문명
과 관련된 많은 용어들은 일본의 오랜 시간에 걸친 번역작업의 결과이다. 제대로 된 번역은 단순히 일대일로 단어를 옮기는 게 아니라 개념을 체화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동반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 ...
韓과학영재들 일냈다…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올림피아드 1위 첫 싹쓸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올해 대회는 지구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지구 환경과 인간의 삶, 인류
문명
과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과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올림피아드 각국 대표단은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18세 미만의 학생 4인 이내로 구성된다. 한국대표단은 김지훈 군을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한다. 이러한 돌탑을 누라게(Nuraghe)라고 하기 때문이다. 무려 1만 개가 넘는다. 누라게
문명
을 건설한 민족이 누구였을까? 아직 정설은 없다. 아마도 다양한 지역에서 건너와 같이 섞이며 어울려 살았을 것이다. 중부 유럽인과 중동인, 이집트인이 이들의 조상이었을 테지만, 아직은 추정뿐이다. ... ...
마윈 "AI 위협 아니다" vs 머스크 "좋은 일인지 모르겠다"
연합뉴스
l
2019.08.30
될 것"이라고 답했다. 지구에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이 생기거나 '외부의 힘'에 의해
문명
이 훼손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인류가 다른 행성으로 옮겨 살 수밖에 없다고 그는 설명했다. 마 회장은 머스크의 '용기'를 높게 평가한다면서도 인간의 수명이 아무리 길어도 100년가량인 상황에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인간 사고의 경계를 넓히고, 사회, 종교, 정치적 변화를 이끌어 내며, 인류가 새로운
문명
으로 도약하게 만든다.” 참고자료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5980100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48215&code=11141100&sid1=all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3/167822/ https://www.cbc.ca/news/health/cihr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대왕이 죽은 뒤(B.C. 323) 열리기 시작한 새로운 시대를 일컫는다. 헬레니즘 시대는 그리스
문명
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했다가 로마에게 지중해의 주도권이 넘어가는 시기에 해당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죽지세로 동방원정에 나서 그 영향력이 지금의 중동지역과 이란을 넘어 인도 북서부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전의 의학을 집대성한 인물이니 인류는
문명
의 초기부터 말라리아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다. 로마 제국의 쇠락이 말라리아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관개 농업이 크게 보급되고, 인구가 늘어나면서 말라리아가 창궐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기 ... ...
수백 년 간 지구에 쌓인 '인류
문명
이 할퀸 흔적'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영국 레스터대 연구팀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크로포드 호수 밑바닥에서 퇴적물 코어를 뽑아 인류세의 흔적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다. 크로포드 호수는 깊이가 22m로 깊고 진흙층이 두터워 인간 활동으로 인한 결과물이 1000년 동안 고스란히 쌓여 있다. 팀 패터슨 제공. 전 세계 지질학자들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