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뉴스
"
바위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6600만년 전 그날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5mm 정도로 작은 구슬 같은 돌이 박혀 있었다. 연구팀은 충돌 당시 수십억 톤에 이르는
바위
가 녹거나 증발해 하늘 전 방향으로 퍼졌다가, 공기 중에서 굳으면서 땅에 비처럼 쏟아졌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이 '암석 비' 때문에 곳곳에서 큰 불이 났을 것으로도 추정했다. 이곳은 소행성이 떨어진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가능성이 제기됐다. 물은 적었지만, 유기물은 풍부했다. 또 내부에 구멍이 많은
바위
로 이뤄져 밀도가 낮다는 사실도 밝혔다. 파편 같은 암석이 쌓인 듯한 지형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근적외선 측정을 통해 류구 표면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지구에서 발견되는 열 및 충격으로 변형된 콘드라이트 ... ...
‘30억명 중 범인 후보 60명 찾는 실력’ 염기교정 가위 정확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있다. ‘가위’를 ‘가’와 ‘위’로 끊은 뒤, ‘바’라는 염기를 집어넣어 세포가 ‘
바위
’로 복원하게 유도하는 식이다. 크리스퍼-캐스9이나 크리스퍼-Cpf1 등 기존 유전자 가위 기술이 이 방법을 쓴다.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의 원리를 설명했다. 먼저 원하는 DNA 두 가닥 가운데 한 가닥을 자른다 ... ...
슈퍼 울프 블러드문이 뜬 그날, 유성체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달에 충돌해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유성체는 태양계 내를 임의의 궤도로 배회하는
바위
덩어리를 뜻하는 단어로 반지름 10km의 조그마한 소행성부터 1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행성간 티끌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달 표면은 수십억 년 간 다양한 유성체의 충돌을 받았다. 현재도 많은 ... ...
홍합에서 얻은 접착물질로 연료전지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KIST)은 연료전지연구센터 김진영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홍합이 물속에서
바위
에 몸을 붙일 때 내는 도파민이란 물질을 활용해 수소이온전도도와 내구성을 동시에 개선한 수소연료전지를 구현했다고 이달 27일 밝혔다. 수소연료전지는 대기 중 산소와 수소 기체를 이용해 전기를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미국 뉴욕 맨해튼의 마천루 한복판에서는 수백만년에 걸쳐 빙하가 흐르며 남긴 흔적이
바위
에서 발견됐다. 박물관 유리 속 전시물을 보듯 뉴욕 빌딩에서 빙하기의 흔적을 내려다볼 수 있는 셈이다. 개미는 터널을 팔 때 집단 중 30%의 개미만 일을 한다. 최대의 효율로 일하는 방법이다. ... ...
"인기 절정 화산관광, 유독가스 마시고 민폐일 뿐" 英왕립지리학회 보고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맞을 위험도 크다. 2014년 일본 온타케 화산이 폭발하면서 근처를 지나던 57명의 등산객이
바위
와 용암 폭탄에 맞아 숨지는 참사를 빚기도 했다. 흐르는 용암의 속도나 그 면적은 예상을 하기 힘들다.-게티이미지뱅크 보고서는 이런 사고를 예방하려면 화산폭발과 용암 흐름을 예측해야 하지만 ... ...
네이처가 뽑은 2018년을 빛낸 과학 동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Chagos Archipelago)라는 섬의 조류 개체 수를 줄였다. 새가 사라지면서 바닷새의 배설물이
바위
위에 쌓여 굳은 덩어리인 구아노도 사라졌다. 이는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산호의 개체 수에 다시 영향을 줬다. 영국 랭커스터대 니콜라스 그레이엄 교수가 쥐가 어떻게 생태계를 바꿔버렸는지 ... ...
[화보]독도엔 누가 살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5
해조류 세상이다. 해조류 종 수가 물고기 종 수의 두 배 이상이다. 사진은 독립문
바위
아래에서 촬영한 대표적인 독도 해조류 숲의 모습이다. 감태와 대황 - 사진 김지현 박사 원통뿔산호 독도 서도 수심 20m쯤에 있는 수중동굴에서 촬영했다. 다이버들이 수중에서 호흡을 하면 수면에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실험에서 뇌의 명령을 피부에 전달하는 운동 신경을 차단해도 갑오징어가 피부의 돌기를
바위
처럼 바꾸는 위장술을 1시간 이상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피부색의 변화 패턴을 먼저 확인한 다음, 오징어의 뇌의 신호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이 고안됐다. 피부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뇌 속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