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2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환경 모사해 차세대 전력
반도체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더 높은 조건에서 SiC 전력
반도체
의 신뢰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방사선 내성 전력
반도체
소자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 doi.org/10.1016/j.radphyschem.2024.11237 ... ...
밤 포집, 낮 전환…이산화탄소 유용가스로 바꾸는 태양광 반응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태양광을 거울로 집중해 가열하면 이산화탄소가
반도체
기반 광촉매 위에서 반응해 합성가스로 전환된다. 햇빛이 없는 밤에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낮에는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합성가스로 전환하는 일주기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개발된 반응기는 다른 ... ...
[사이언스게시판] 항우연, 태양풍으로 움직이는 돛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기반 서비스를 이행해 성능을 검증하는 방식이고 엣지형은 개별 기기 등에서의 국산 AI
반도체
와 솔루션이 현지 정보통신 인프라에서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검증·개선해 나가는 형태다.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 우주항공청은 ‘2025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中 딥시크, 미국의 규제가 낳은 '아이러니'
2025.02.12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한 '라마'(Llama)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인공지능의 훈련에 사용한
반도체
도 미국 엔비디아의 H800 칩 2048개였다. 미국산 생성형 인공지능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결국 딥시크는 미국이 이룩해놓은 인공지능 기술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 ...
0.01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증류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223.15°C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해 핵융합,
반도체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오현철 교수는 “다공성 물질의 나노 기공 크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며 “동위원소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제33회 천체사진공모전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고 최형섭 초대 소장의 기탁 기금으로 운영되는 송곡과학기술상은 ‘p-type 산화물
반도체
’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용영 포스텍 교수가 수상했다. KIST와의 과학기술 부문 국제협력 공로자에게 수여하는 ‘KIST 글로벌 파트너십 어워드’에는 이슈트반 새르더해이 주한 헝가리 대사가 선정됐다 ... ...
10억번 이상 스위칭해도 끄떡없는 '
반도체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열화되지 않는 스위칭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전이 기반 신소재의 지능형
반도체
및 광소자 응용 가능성을 높여 줬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해 11월 게재됐다. -doi.org/10.1002/adma.20241354 ... ...
'상온 양자역학'이 초전도체 LK-99로 오인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의미를 갖는다. 스핀 전류를 이용해 전자 소자를 만드는 연구인 스핀트로닉스는 차세대
반도체
공학 기술로 꼽히고 있다. 양자역학 성질인 스핀은 입자가 가진 고유한 성질로서 회전하는 물체가 가지는 운동량을 말한다. 입자가 실제로 회전하지는 않지만 회전하는 물체처럼 크기와 방향을 ... ...
뇌 속 조력자 성상교세포, 영양물질 재활용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주머니 형태의 구조물인 세포외소포에 담겨 재분비되는 과정을 연구했다. 나노 크기
반도체
입자인 양자점(퀀텀닷)으로 표지한 BDNF인 ‘QD-BDNF’를 사용해 실험했다. 그 결과 성상교세포는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 물질인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자극에 반응해 세포외소포를 방출했다. 이 과정에서 ... ...
정부 R&D예산 검토 자문단 확대…양자·AI·바이오 분야 세분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위해 현행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전문위원회를 인공지능·ICT전문위원회, 양자·
반도체
전문위원회 등으로 나누는 등 기존 8개에서 11개로 세분화하고 전문위원 수도 131명에서 165명으로 늘었다. 임기가 만료되지 않은 대형연구시설 전문위원회는 이번 신규 위촉에서 제외됐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