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창
성공]
뉴스
"
번성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1만 년 전 털매머드, 자연유산으로 깨어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멋진 털을 두르고 있습니다. 45만 년 전부터 북미대륙 북부와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성
하기 시작해 1만 1000년 전 즈음에 멸종됐다고 하네요. ● 실물 표본으로 매머드를 파헤쳐 보자 11월 5일 오후 2시. 문화재지킴이 어린이 기자들이 천연기념물센터에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수도권을 비롯해 ... ...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6.10.18
학예연구관은 “발자국 화석은 주로 땅이 질은 물가에서 발견되는데, 공룡이
번성
했던 백악기에는 포식자들 때문에 도마뱀이 물가에 살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화석을 발견한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도 당시 호숫가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백악기연구’ 8월 26일자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
했다!
2016.09.12
벌써 20년이 다 되가는 일이다. 하루는 안동대의 모 교수가 공룡뼈를 발견한 것 같다는 제보를 하며 한 번 현장에 와보라고 했다. 이분은 고생물학자이지만 전공이 공룡이 아니라 공룡전문가가 동행하기를 요청했다. 서호주 샤크만에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 현존하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스트로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중류 일대는 기원전 1900~1550년에 걸쳐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二里頭) 문화’가
번성
했다. 그동안 얼리터우 문화가 하나라의 존재를 입증하는 고고학 유적이라는 설이 제기됐는데, 이번 대홍수의 증거 발견으로 ‘사기’의 기술이 신빙성이 높아지면서 유력해졌다. 결국 대홍수를 극복하기 ... ...
앙코르와트 인근서 지하도시 발견
과학동아
l
2016.07.23
GIB 제공 캄보디아 정글 지하에서 900∼1400년 전
번성
했던 중세도시가 발견됐다. 호주의 고고학자 대미언 에번스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유적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인근 정글의 땅 아래에서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은 중세도시들을 발견해 ‘고고학 과학 저널’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 ... ...
인공위성 영상 빅데이터, 70배 빨리 분석한다
2016.05.16
이전했다. 현재 KISTI는 이 두 기관과 공동으로 투픽스 오션 컬러를 활용해 식물 플랑크톤
번성
패턴 모델과 한반도 연안의 유해 적조 발생 예보 모델을 개발 중이다. 투픽스는 고가의 컴퓨팅 환경뿐만 아니라 개인용 PC 수준의 사양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박 실장은 “고성능 하드웨어를 도입하기 ... ...
‘위생의 제국’ 고대 로마, 알고 보면 ‘기생충 천국’
2016.01.10
회충, 촌충과 같은 장내 기생충의 흔적을 발견했다. 또 빗과 옷감을 통해 당시 머릿니가
번성
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당시 머릿니 등의 체외 기생충은 목욕탕의 따뜻한 물이 전파 경로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욕조의 물을 자주 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청소가 깨끗하게 이뤄지지 못해 ... ...
바다사자가 기억상실 ‘도해강’ 되는 이유
2015.12.15
등이 먹어 더 높은 농도의 도모산에 노출되기 마련이다. 연구팀은 수도니치아가
번성
한 캘리포니아 연안에 사는 바다사자 30마리를 소살리토에 있는 해양포유류센터로 옮겨왔다. 이들을 대상으로 특정 장소에 음식을 숨겨놓고 다시 찾게 하는 ‘장소기억력’을 측정하자 제대로 음식을 찾지 ... ...
‘사랑’ 없이는 노벨상도 없었다
2015.11.29
진화돼 온 과정을 담았다. 약 2000만 년 전 마이오세 초기에 유인원종이 폭발적으로
번성
했고 이후 기후 변화를 겪으며 삶의 터전인 숲이 사라져 수십 종이 사라지고 일부만 살아남게 된다. 이들 무리는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진화를 거듭해나갔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은 함께 모여 ... ...
삼시세끼 어촌편 만재도는 ○○○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9
태양빛이 바닷물 속까지 닿아 해양 생물이 살 수 있는 원동력이 되지요. 식물 플랑크톤이
번성
하고, 그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 다양한 해양 생물이 살아가는 공간이 됩니다. 아마 ‘삼시세끼 어촌편 2 - 만재도’에서 그 다양한 해양생물을 사람이 어떻게 먹고 즐기는지 볼 수 있지 않을까요? 호주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