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산시
부산광역시
부산문화방송
문화
방송
뉴스
"
부산
"(으)로 총 2,961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생산 등 산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윤현진 아주대 첨단바이오융합대학 교수가 19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4 대체단백질 식품신소재 원천기술연구단 성과교류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대체단백질식품신소재 원천기술연구단 제공 윤 교수는 이날 성과교류회에서 헴이 풍부한 코리네박테리움 ... ...
전국 과학관 모여 협력 강화…대구과학관 '반도체 전시존'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연간회원제 운영기관 사이에 상호 혜택을 공유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냈다. 국립
부산
과학관은 디지털·인공지능 특별전을 7월 25일부터 10월 27일까지 개최한다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관 운영체계 및 기능 개선방향 마련'을 위해 국립과학관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및 자유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 ...
스티커 떼어내듯…전자 소자, 기판에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이상규 나노입자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김지훈
부산
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무손상 건식 전사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고성능 소자는 주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딱딱한 기판에서 제작된다. 웨어러블 기기 같은 유연한 전자기기를 만들기 ... ...
전세계 우주과학자 3000명, 7월
부산
서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24일 '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제45회 국제우주연구위원회(COSPAR) 총회가 7월 13~21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COSPAR 2024로 불리는 이번 총회는 전 세계 우주과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다. 이 대회는 격년으로 대륙을 순환하며 열리는데 한국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나타나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2021년 한국교육정치학회의 '교육정치학연구'에 실린
부산
교대 이광현 교수의 분석이다. 사실 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는 5·31 교육개혁이 현장에 본격적으로 적용되었던 국민의 정부에서 시작되었다. '무엇이나 한 가지만 잘하면 된다'는 이해찬 당시 교육부 ... ...
의협 집단휴진, 큰 혼란 없어…교수들 "휴진은 의지 표명 수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파악됐다. 전북대병원에서는 250여명의 교수 중 10% 가량이 이날 휴가를 냈다. 양산
부산
대병원은 이날 실제 휴진에 들어간 의사가 10명 안팎인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대병원의 경우 의사 휴진으로 예정된 외래진료 스케쥴 103개 중 31개가 취소됐지만 내원 환자 수에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기반으로 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길을 제시한 이찬빈
부산
대 생명시스템연구소 연구교수, 분자 단위 소재가 열전 디바이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힌 박소현 성신여대 화학에너지융합학부 조교수가 선정됐다. 학술진흥상 및 펠로십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상패와 함께 ... ...
의정갈등으로 암·신약 연구 '올스톱'…"국제 학계 신뢰도 추락"
2024.06.13
구조상으로도 펠로우(전문의)가 현재 전공의의 대체하는 것은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부산
소재 한 의대 교수 또한 "병원의 의료수익은 그대로인데 전공의보다 임금이 높은 전문의로 교수의 업무량을 대체하려면 대부분 병원은 얼마 못가 도산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료 대란으로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책임연구원, 김재호 에너지·환경재료연구본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오진우
부산
대 교수 및 최진우 공주대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하이브리드 바이오 나노구조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섬유형 태양전지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만들었다고 10일 밝혔다. 금속나노입자를 기판에 코팅할 때 ... ...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7월 진수식을 거쳐 지난달 31일 공식 취항했다. 지질연 제공 5월 23일 오후 화창한 날씨의
부산
항 앞바다는 파도가 잠잠해 평화로웠다. 뱃멀미를 줄여준다는 사탕을 입에 물고 작은 통선에 올랐다. 영도대교 아래를 지나 20km 정도 바다로 나가자 바다 한가운데 정박한 '탐해 3호'가 모습을 보였다. 탐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