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뉴스
"
분화
"(으)로 총 90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1저자다] ③"연구자들 눈앞엔 항상 '물음표'...시니어 멘토링 원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2
통해 궁극적으로 암을 예방하는 방법을 찾겠다는 목표다. 여러 세포로
분화
가능한 미
분화
세포인 줄기세포도 연구단의 주요 연구 분야다. 스위스에서 간암 연구를 할 때 쥐와 환자 샘플을 살펴보니 암 줄기세포는 저항성이 강했다. 제거했다고 생각했는데 금방 다시 자란다는 점을 확인했다. 암 ... ...
수성 지하에도 생명 존재 가능?…"극지서 소금빙하 증거 발견"
연합뉴스
l
2023.11.20
형성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이는 휘발성 물질이 풍부한 지층은 대체로 맨틀
분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는 기존 이론에 배치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동연구자인 브라이언 트래비스 박사는 " 수성의 소금 빙하는 지구 빙하와는 달리 땅속 깊숙이 묻힌 휘발성이 풍부한 지층이 분출돼 형성된 ... ...
[과기원NOW] KAIST, 생체 내 단백질 구조체 모사한 '금속 필름'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17
전면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세포외 기질은 세포 밖에 존재하며 세포의
분화
, 성장,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생체 조직과 기관의 구조적·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생체 구조물이다. 연구팀은 세포 구조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 '피브로넥틴'을 표적 단백질로 삼아 ... ...
배아줄기세포 주입한 '키메라 원숭이' 첫 출산
동아사이언스
l
2023.11.10
배반포처럼 공 모양 구조로 변하며 신체 조직과 장기를 형성하는 3가지 세포계통으로
분화
했다. 연구팀은 배반포 유사체에서 얻은 6000여개 세포의 유전자를 분석해 자연 상태의 배반포와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일부 세포는 호흡기와 소화기로 자라는 내배엽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확인됐고 ... ...
"AI, 생명과학에 새로운 가능성 불어넣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1.06
예측하고 또 현재 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최적화된 약물이 무엇인지 찾아낸다. 세포의
분화
과정을 밝히는 실험모델로 유명한 예쁜꼬마선충의 ‘뇌 지도’를 작성하는 연구도 있다. 뇌 지도는 뇌 속에 있는 신경 세포들의 연결을 모두 나타낸다. 현재 완전한 뇌 지도가 완성된 동물 중 가장 복잡한 ... ...
[바꿔쓰자!과학용어] ⑥임상실험→임상시험...차세대한림원이 꼽은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치료제이며 역
분화
줄기세포치료제는 성체에서 취득한 줄기세포로 만든 치료제다. 역
분화
줄기세포치료제는 배아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이슈가 없고,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하면 면역거부반응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33. 인공지능/딥러닝/머신러닝 인공지능, 딥러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원인임을 밝혔다. 골수에서 만들어진 백혈구인 단핵구는 심장 근육에 이르러 대식세포로
분화
해 자리를 잡는다. 그런데 Y염색체 소실 대식세포는 반복되는 심근 수축에 자극을 받아 섬유아세포를 활성화하는 성장인자를 분비하고 그 결과 세포외기질의 섬유화가 일어나 근육이 점차 굳어진다. ... ...
소행성 충돌로 인한 엄청난 미세먼지 '공룡 멸종'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국제 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멕시코 칙술루브
분화
구 퇴적층의 미세입자를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고기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6600만 년 전 소행성 충돌 시 황 입자, 그을음은 물론 막대한 양의 규산염 미세먼지가 분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규산염 ... ...
줄기세포로 뼈 재생 촉진하는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30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가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로
분화
하도록 유도했다. 줄기세포
분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줄기세포 치료의 핵심 단계다. Ad-SNP 나노입자는 사포닌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양전하 없이도 세포막의 기공 형성을 통해 줄기세포 내로 빠르게 흡수될 수 있다. 세포질에서 기존보다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하는데, 외부 환경이 나빠지면 어린 개체상태로 바뀌었다가 적절한 환경에서는 다시
분화
하여 어른 개체로 성장과정을 수시로 바꿀 수 있어서 수명이 무제한적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종류의 해파리들 중 연구자들의 오랜 관심을 받아온 해파리는 ‘상자해파리(Tripedalia Cystophora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