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불
광
빛
라이트
광선
light
불
뉴스
"
불빛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아이에게 우주의 신비를 가르쳐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한편 동아사이언스는 지난해 11월에 과학동아 천문대를 개관, 대기 오염물질과 인공
불빛
때문에 별 구경이 어려운 도시인들에게 다양한 천문현상 관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과학동아 천문대에는 8인치(200mm) 굴절 망원경이 설치된 천체관측관을 비롯해 날씨와 무관하게 가상의 밤하늘을 관찰할 ... ...
도시 한가운데로 우주가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13.12.03
조건은 어떤가요? 일단 건물 꼭대기라는 점에서 유리합니다. 생활 공간에서 나오는
불빛
이 대부분 이 아래에 있어서 관측을 방해하지 않거든요. 그리고 이 건물 주변은 시야가 많이 트여 있어서 별 보기가 좋습니다. 다른 천문대와 비교했을 때 어떤 강점이 있나요? 우리나라의 천문대 대부분은 ... ...
도시 한복판에서 별구경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등 60여 명의 정관계 인사가 참석했다. 과학동아 천문대는 대기 중 오염물질과 인공
불빛
이 많은 ‘빛 공해 현상’ 때문에 별 구경이 어려운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천문 현상 관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세워진 도심 천문대다. 김영진 천문대장은 “그동안은 별을 관측하려면 산 중턱에 ... ...
11월의 아이손, 나도 한번 찍어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북극성 주변의 별들을 찍은 다음 그 파일을 합성한 것이다. 오른쪽 일주 사진에서 녹색
불빛
은 연구용 레이저
불빛
. 아래의 물체는 세종대왕 때 만든 천문관측 기구인 간의(簡儀)이다. -안상현 박사 제공 *아이손 혜성을 11월 25일(월) 개관하는 과학동아 용산 천문대에서 관측해보세요! 과학동아 ... ...
도시의 밤에도 ‘별’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별을 볼 수 없다? 편견 깨는 체험학습 공간 문명의 온갖 산물들이 쉼 없이 만들어내는
불빛
, 그리고 매캐한 먼지와 더불어(?) 살아가는 도시인들에게는 별을 볼 기회가 많지 않다. 아니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도시에서는 별을 볼 수 없다고 생각하며 밤하늘을 제대로 올려다볼 ... ...
[채널A] 잠 못드는 매미 소음, 시끄러운 이유 ‘제각각’
채널A
l
2013.08.05
착각할 정도로 변화무쌍합니다. [인터뷰 : 윤기상/대전 전민고등학교 교사] 애매미가
불빛
을 쫓아다니는 경향이 큽니다. 상가 간판이라든지 아파트 거실, 방 방충망에 많이 붙어서 우는 매미 중에 하나가 애매미이고. 주변에 매미 종류가 다양하다면 매미들의 울음소리 경쟁이 저녁 늦게까지 이어질 ... ...
눈부심 없는 LED조명, 세계 최초 개발
동아일보
l
2013.07.15
업그레이드 된 품질로 재탄생한 셈이다. 게다가 가격 경쟁력까지 뛰어나 과연 ‘꿈의
불빛
’으로 불릴 만하다. 가격은 기존 제품의 60% 수준으로 크게 낮춘 덕분에 그동안 고가품으로 인식돼 온 LED조명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처럼 가격, 무게, 크기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 산학연계 ... ...
아빠 어디가? 수학하는 생물들 보러 가지~!
수학동아
l
2013.06.27
것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원 위에서 움직이는 반딧불이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불빛
을 내뿜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주기로 깜빡이는 반딧불이들은 원 위의 다른 점에서 제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인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렇게 제각기 움직이는 반딧불이들이 점차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빛이 있다는 시각신호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불빛
이 잠깐 반짝했는데 뇌는
불빛
이 계속 있는 걸로 보게 된다는 말이다. 이래서는 빛의 파장과 세기가 바뀌며 전개되는 일상의 광경(동영상)을 재현할 수도 없다. 물론 인체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조처를 해놨다. 빛에 의해 활성화된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작은 건 쌀 한 톨 만한 것까지 범위가 넓다. 유성체가 지구 대기와 부딪치면서 내는
불빛
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게 유성(meteor) 즉 별똥별이다. 유성으로 보이려면 최소한 질량이 1g은 돼야 한다. 이보다 작아 지구 대기에 부딪쳐도 유성으로 관측되지 못하는 경우를 미세유성체(micro-meteoroid)라고 부른다. ... ...
이전
12
13
14
15
1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