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생식
개량
부양
사양
돌보기
배양
뉴스
"
사육
"(으)로 총 34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01.01
성체까지 ‘병원체 프리’ 환경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에서
사육
하는 실험쥐들. 실험동물자원센터는 병원체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 SPF(Specific Pathogen Free) 환경으로 유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여러분 “쥐-하(쥐D 하이라는 뜻. 펭-하 따라 한 거 맞음)”. 저는 전 세계 쥐를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아기새를 오래 살리기 위해 공을 들였다. 하지만 새가 어느 정도 자랐을 때 조류
사육
장에서 날갯짓을 하다가 부상을 입고 죽었다. 넓적부리도요를 알에서 부화시켜 건강하게 키워 야생까지 날려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페인 교수는 "8년 동안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해 단 2마리를 성공적으로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까다로운 고양이가 인간의 친구가 된 비결은 '공생' 인간이 야생동물을 길들여
사육
종으로 만드는 것을 ‘가축화’라고 합니다. 가축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에게 유용하고 쉽게 돌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과 함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번식이 쉬워야 합니다. 인간이 ... ...
'지구상 가장 큰 동물' 대왕고래 심장 1분에 두번 뛴다…사상 첫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제공 야생 대형 고래의 심장박동을 측정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포획된 고래나
사육
하는 작은 돌고래에 심장박동을 측정하는 심전도 장치를 붙이는 것과 야생 고래의 심장 근처에 장치를 붙이는 것은 난이도가 다르다. 야생 고래는 돌고래처럼 배를 뒤집지 않아 심장 가까이 붙이기 어렵다. ... ...
[애니멀리포트]버려진 웅담채취용
사육
곰에게 해먹을 선물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23
예산을 따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현장취재] 해먹 달기 대작전!
사육
곰에게 놀이를 선물하다 도움 및 사진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동물자유연대 ... ...
[부고] 한국 동물생명공학 선구자 한인규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시킨 주역이다. 미국 유학에서 터득한 화학분석법과 실험동물
사육
기술의 한국 내 도입을 선도하며 총 670편의 학술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실었다. 축산학 및 영양사료학 분야의 새로운 이론과 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동물영양학’, ‘사료자원핸드북’ 등 111권의 저서를 ... ...
"전 세계 돼지 4분의 1,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사라질 것" OIE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우리 세대의 모든 가축에게 가장 큰 위협”이라고 말했다. 시프 회장은 “전 세계
사육
돼지 두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을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이 질병이 확산됐다”고 말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아프리카에서 감염되는 풍토병이었지만 현재는 유럽 등 50개 나라로 퍼졌다. 아시아에서는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
2019.10.27
. 그러나 모든 인류가 수렵채집인처럼 고기로 배를 채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축
사육
은 에너지와 자원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전 세계 농경지를 모두 동원해도 충분한 고기를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속 불가능하다. 인공육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니 조금 기다려보면 해결책이 나올지도 ... ...
[기고] 멧돼지 전면 포획이 능사 아니다
2019.10.25
차량과 사람의 접촉(41.5%)이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의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육
돼지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파되는 주된 경로는 멧돼지보다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이고 보는 게 좀 더 타당하다. 물론 멧돼지의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만큼 멧돼지로부터 전파될 가능성을 ... ...
'육류 과소비'만 줄여도 기후변화 막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섭씨1.5도보다 낮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때 숲 벌채나 쓰레기 처리, 가축
사육
등 토지 자체에서 이뤄지는 인간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탄소는 생활과 밀접한 탄소로, 사람들이 노력을 통해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지가 배출하는 탄소는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25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