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척자
선각자
선구
파이어니어
창시자
선배
선봉
뉴스
"
선구자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Q매거진]식물화장학의
선구자
‘시슬리’, 최고 품질로 고객마음 사로잡아
동아일보
l
2016.03.24
하는 요소를 갖고 있다. 오랜 식물 연구 끝에 탄생한 시슬리 브랜드는 식물화장학의
선구자
로 꼽힌다. 원료로 사용하는 식물도 엄격히 선정한다. 식물 분류 중 가장 좋은 종류를 선택하고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부분을 선택해 사용한다. 또 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재배지와 수확 시기도 ... ...
'ℓ당 21.9㎞' 토요타 4세대 프리우스 국내 상륙
포커스뉴스
l
2016.03.22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이 탑재된 표준형(E), 고급형(S) 2종이다. 프리우스는 라틴어로 ‘
선구자
’를 뜻하며 1997년 세계최초 양산형 하이브리드카인 1세대를 선보인 이후 이번 4세대까지 발전해왔다. 이번 4세대의 핵심은 ‘TNGA(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다. TNGA는 ‘보다 좋은 차 만들기’를 실현하기 ... ...
‘日 AI연구
선구자
’ 마쓰오 유타카 도쿄대 교수 인터뷰
동아일보
l
2016.03.17
추구하며 경쟁하는 인간의 본성은 바뀌지 않으니까요.” 일본 인공지능(AI) 연구의
선구자
라 불리는 마쓰오 유타카(松尾豊·41·사진) 도쿄대 특임 준교수는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이긴 뒤 AI가 ‘대실업 사태’를 일으키고 인류에게 재앙을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는 것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 ...
우주는 지금 ‘양자통신 전쟁’ 중
2016.03.04
훨씬 안전하다. 선이 파괴될 염려가 없고 이동성도 갖추고 있다. 무선 양자통신의
선구자
는 미국이다. 1998년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가 지상 1㎞에서 세계 최초로 무선 양자통신을 성공시켰고, 2002년 거리를 10㎞로 늘렸다. 양자암호 생성까지 가능한 중국의 ‘양자통신실험위성(QUESS)’ - ... ...
[책의 향기]100년 만에 받은 선물… 중력파, 우주의 窓을 열다
동아일보
l
2016.02.27
책은 중력파 검출을 둘러싼 과학자들의 드라마틱한 도전을 소개한다. 검출 실험의
선구자
이자 한때 검출에 성공했다고 평가받았던 미국 메릴랜드대 조지프 웨버 교수(1919∼2000)가 잘못된 실험 결과를 옳다고 고집하다가 학계에서 사라졌던 일화는 안타깝다. 저자는 중력파 검출 전 원고를 ... ...
[데스크 진단]ICT가 명품의 콧대를 꺾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2.22
않았기 때문에 세계적 쇼와 디자이너와 옷들을 ‘직접’ ‘미리’ 보는 것만으로도 패션
선구자
라는 인식이 있었다. 그 옷들은 약 6개월이 지나서야 전 세계 매장에 깔렸다. 그런데 이달 5일 영국 명품 ‘버버리’는 글로벌 패션업계에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 될 만한 혁명적 선언을 했다. ... ...
[2013년]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2016.02.12
어렵다. 이 작은 거리 변화를 과학자들은 어떻게 측정하려고 할까. 중력파 검출 연구의
선구자
는 미국의 물리학자 조셉 웨버였다. 1960년대에 웨버는 알루미늄 원통과 압전소자(압력을 전기로 바꾸는 장치)로 ‘웨버-바’라는 중력파 검출기를 만들어 실험했다. 중력파가 지나가면 원통이 진동하고, ... ...
‘인공지능의
선구자
’ 마빈 민스키, 그는 누구인가
2016.01.27
믿었다. 민스키 교수가 설립한 MIT 미디어랩은 수학자이자 컴퓨터공학자, 인공지능의
선구자
였던 그가 24일 보스턴에서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고 25일(현지시각) 전했다. 향년 88세. ● 50년대 소모임에서 출발해 인공지능의 이정표가 되다 미국 하버드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프린스턴대에서 ... ...
‘AI 4대천왕’ 모셔간 美구글-中바이두
동아일보
l
2016.01.26
미국의 구글과 페이스북, 중국의 바이두에 스카우트되면서 화제가 됐다. AI 분야의
선구자
인 제프리 힌턴 전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69)는 구글에 영입됐다. ‘딥 러닝’ 개념의 창시자인 힌턴 교수는 1980년대 초부터 데이터 연구에 뛰어들어 인공 신경망 구축의 초기 단계를 이끌었다. 구글은 2013년 ... ...
“한국 인공위성의 성공 신화는 제 역사이기도 합니다”
2016.01.25
13일 낮 대전 유성구 신성로 인근의 한 샤브샤브 식당에서 용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탑재체전자팀 책임연구원을 만났다. 한 손에는 묵직 ... ‘항우연’으로 3행시를 부탁했다. “항공우주는 대한민국의 미래다. 우주 개척의
선구자
가 되도록 연구에 매진하는 과학자가 되자.”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