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밀"(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1억분의 5m 크기 나노 구조 관찰 가능한 현미경 개발연합뉴스 l2020.05.25
- 연구팀은 탐침 구멍을 줄이지 않고도 근접장 주사광학현미경의 해상력(물체의 세밀한 부분까지 재현하는 렌즈의 능력)을 높여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I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선 유리 표면에 금을 입힌 뒤 50㎚ 간격으로 직사각형 두 개를 그려낸 '이중 슬릿'을 만들었다. ... ...
- 사람 눈보다 시력 좋은 인공눈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05.25
- 바꿔 광수용체와 같은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실제 광수용체만큼의 세밀한 구조를 구현하지 못했다. 판 교수는 “사람의 눈을 모방한 인공 눈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과학기구나 전자제품, 로봇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코로나19로 깨끗해진 한반도 모습, 천리안2B호가 찍었다동아사이언스 l2020.05.11
- 해양환경 변화와 대기 오염 농도 등을 10년간 관측한다. 천리안2B호는 공간을 250m 단위로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천리안1호보다 공간 해상도가 4배 높다. 기존에는 식별하기 어렵던 항만이나 연안 시설물, 해역 수질 변동, 기름 유출 발생 등을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으리란 기대다. 천리안위성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2020.04.16
- 그린 사람은 당대의 유명한 화가인 얀 스테벤 판 칼카르이다. 삽화가 굉장히 사실적이고 세밀해서 아마 이런 부류의 책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꽤나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의학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도 우리는 인체 내부를 묘사한 그림이나 사진을 흥미롭게 바라본다. ... ...
-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04.03
- 액상 투과전자현미경(Liquid cell TEM) 기술을 이용해 개별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세밀하게 촬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나노입자를 원자까지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기법이 나왔다. 나노구조 연구를 활성화하고, 촉매의 성능을 높이거나 디스플레이의 색 순도를 ... ...
-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ZOO)'수학동아 l2020.03.07
- 이번에는 전자동 망원경이 촬영한 은하 사진 중에서 밝기가 밝은 25만 개만 추려서 좀 더 세밀한 분류를 요청한 겁니다. 모양뿐 아니라 은하 중심부가 밝은지 어두운지, 여러 은하가 충돌하는 상태인지 등을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더 까다로운 작업이었지만, 시즌1 때보다 많은 약 6000만 번의 분류 ...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과학동아 l2020.02.15
- 엽록소를 가진 생물을 이전에는 10종류로 나눠 관측할 수 있었다면 이제는 100종류로 더 세밀하게 나눠서 볼 수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해양탑재체는 프랑스, 캐나다 등과 공동개발했지만 핵심 기술은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특히 해양탑재체는 정확한 관측을 위해 주기적으로 태양을 ... ...
- 사진 한장으로 생산중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내부결함 들여다 본다동아사이언스 l2020.02.11
- 기존의 복잡한 과정을 한번의 측정으로 해결했다”며 “(디지털화된 화상의 이미지가 세밀하게 재현되는지 나타내는 공간적 충실도를 뜻하는) 공간 분해능을 10배 이상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국산 측정장비의 자립화는 물론 첨단소자의 수율 확보에도 ... ...
-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01.24
- 시베리아해 동쪽에서 영구동토층을 조사하던 러시아 톰스크 폴리테크닉대학교 이고르 세밀레토프 교수팀은 바다에서 메탄 기체가 올라오는 모습을 포착했다(왼쪽). 연구팀이 현장의 대기 중 메탄 농도를 측정한 결과 16ppm으로, 평균 1.85ppm이 있는 것과 비교하면 약 9배 높은 수준이었다.Tomsk Polytechnic ...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2020.01.16
- 트랜지스터 센서는 센서 간 간섭없이 조밀한 배열이 가능하다. 촉각을 고해상도로 더욱 세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사람 머리카락 단면(약 0.4㎟)보다 작은 면적에 가로 20줄, 세로 20줄의 정사각형 형태로 총 400개의 센서를 배열해 3D 촉각 인식장치를 개발하고 장치가 잘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