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용성
유익성
기능미
뉴스
"
실용성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반면 다이폴 코일을 이용하면 두께가 3mm 정도의 평평한 전기 수신기를 만들 수 있다.
실용성
이 한층 높아진 것이다. 이렇게 좋은 해결법이 있는데 왜 이제서야 개발된 걸까. “루프코일이 성능이 좋으니까요. 지금까지 쭉 루프코일을 써왔으니까 다른 코일을 사용할 생각을 다들 못했죠.”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10만5810점 중 수상자 301명 선정
2015.07.30
이해한 뒤 개발했다는 점에서 매우 수준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또 두 작품 모두
실용성
이 뛰어난 데다 실제 상품화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 심사에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45명이 참여했다. 이 원장은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중고등학교 인턴제도를 도입한다면 학생들의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시각처리를 담당한다. DRC휴보Ⅱ의 손도 주목해 볼 만하다. 11년간 가다듬어 모양과
실용성
을 모두 갖췄다. 2004년 개발한 구형 휴보는 사람처럼 다섯 손가락이 움직이지만 손가락이 굵고 물건을 잡는 기능은 크게 떨어졌다. 내부에 고무로 만든 체인식 벨트가 들어 있어 강한 힘을 내기 어려웠다.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팍스 로보티카’를 위한 로봇 기술
2015.05.23
보조 로봇은 인간형 로봇 기술에서 파생돼 나올 만큼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서 “
실용성
있는 첨단 로봇 기술을 확보했느냐가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부상병 안고 뛰는 한국형 구조로봇 첫 개발
2015.01.22
휴보 II는 사람처럼 팔이나 다리가 달려있는 인간형 로봇이다. 인간형 로봇은 지금까지
실용성
보다는 로봇의 기술력을 높이기 위한 선행연구 목적으로 개발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재난현장이나 구조용으로 활용 가치가 크다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최근 세계적으로 인간형 로봇 개발이 ... ...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시스템은 가뭄정보를 사전에 획득해 현업 서비스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성
이 크다. 배 교수의 가뭄조기경보 시스템은 미래의 물 순환 정보를 생산하고 물 순환 변화에 따른 가뭄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결합가뭄지수를 나타낸다.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계적 보정기술을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발견됐지만 이 논문이 발표되기 전까지 미지의 물질로 남아있었다. 유 단장은 여기에 ‘
실용성
’이라는 날개를 달았다. 메조다공성물질의 구멍 크기를 키우고 다양화해 활용도를 높인 것이다. 실리카(이산화규소)로만 만들던 메조다공성물질을 2007년에 탄소로 만들고, 2011년에는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③] “수학은 '슈퍼 섹시'한 학문입니다”
과학동아
l
2014.08.01
인터뷰하며 그 이유를 쫓는다. 그리고 그 답으로 근대 사회에서 수학교육이 정답과
실용성
만을 강조하면서 사람들이 수학을 기피하게 됐다고 해석한다. 수학이라는 학문이 가지는 매력은 잊혀진 채 과학자가 꿈이 아니라면 굳이 수학을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가 만연해졌다는 것이다. ... ...
발로 부는 호루라기 발명한 초등 5학년
과학동아
l
2014.07.24
장점이다. 국무총리상을 받은 최경식 군의 ‘바둑돌이 자동으로 분류되는 바둑판’은
실용성
이 뛰어나 당장이라도 바둑판에 활용할 수 있다. 올해 심사에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46명이 참여했다. 각 심사위원이 전시된 작품을 보고 출품 학생에게 개별적으로 질의한 뒤 답변을 듣는 일대일 ... ...
세월호 침몰, 지하철 화재…재난 막는 기술은?
과학동아
l
2014.05.30
소방 분야 연구는 그만큼 부족해 진 것. 윤 교수는 "논문 많이 나오는 곳 뿐 아니라
실용성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도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말했다. 윤 교수의 강연 외에도 이원호 광운대 건축공학과 교수가 '한국의 재난관리와 미래전망'을 주제로 발표했고, 이후 토론이 이어졌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