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쇄"(으)로 총 3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밀 3D프린팅 기술로 높이 7μm 짜리 구조물 쌓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12.19
- 거의 그대로인 3차원 투명 전극을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전극 모양으로 나노 구조체를 3D 인쇄한 뒤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은으로 코팅하고 투명한 실리콘 필름 안에 넣은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전극처럼 복잡한 나노 구조도 제작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조윤경 그룹리더는 "이 ... ...
- 김시중 전 과기처 장관· '포니'개발자 이충구 전 현대차 사장 등 12인 '과기유공자'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12.17
-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고 김정식 대덕전자 전 회장 핵심 전자부품인 인쇄회로기판(PCB)을 세계 일류로 키우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기업인이다. 후학 양성을 통한 사회 환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서, 서울대에 657억 원을 기부하고 해동과학문화재단과 대덕복지재단을 설립했다. 김 전 ... ...
-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로 최적의 3D 프린팅 기술 설계동아사이언스 l2019.12.16
- 아이콘으로 손꼽힌다. 집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프린터가 종이에 글자를 인쇄하는 방식이라면 이 출력 기술은 플라스틱과 금속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해 입체 물체를 찍어내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최근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벌써 30여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3D프린팅 기술 전문업체 ‘ ... ...
- 복합 문화 공간 IBS과학문화센터 10일 개관동아사이언스 l2019.12.10
- 소장 자료의 60% 이상이 과학도서다. 또 네이처와 사이언스, 셀 등 유명 국제학술지도 인쇄본으로 열람이 가능하다. 국내 유일 과학교양지 ‘과학동아’를 발행하는 동아사이언스의 기증으로 구성된 ‘동아사이언스 존’에서는 최근 10년간 발행된 과학동아와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를 볼 수 ... ...
- 초정밀 회로 인쇄기술로 스마트콘택트렌즈 시대 앞당긴다동아사이언스 l2019.12.08
- 크기에 맞게 슈퍼커패시터(축전기)와 발광다이오드(LED) 등 전자소자를 이용해 초정밀 인쇄공정으로 회로를 그려 넣었다. 잘 구부러지고 유연한 소프트렌즈의 특성을 이용해 전자소자가 부서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고안한 것이다.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게 무선으로 ... ...
- 대전 복합 과학문화 공간 'IBS과학문화센터' 문연다동아사이언스 l2019.12.04
- 비롯해 자료 60% 이상이 과학도서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을 인쇄본으로 볼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기증으로 구성된 ‘동아사이언스 존’에서는 10년간 발행된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잡지를 볼 수 있다. ‘연구기관 존’에는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 ...
- "실패해도 괜찮아" 격려에 세상 바꿀 아이디어 22개 우르르 동아사이언스 l2019.11.29
- 낱말카드를 만들었다. 휴대를 하며 버튼식으로 점자를 인쇄할 수 있는 점자 인쇄기에 대한 아이디어도 구상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6일 광주 북구 GIST에서 브레일 브릴리언트 팀을 포함한 22개팀의 ‘2019 무한도전 프로젝트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무한도전 프로젝트는 ... ...
- "휘고 구기고 빨아도 오케이" 투명 전자소자 대량 생산 길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9.11.12
- nm, 1nm는 10억 분의 1m) 굵기의 선을 쓰거나, 이들 선을 그물 모양으로 엮어 필름에 ‘인쇄’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만든 투명전극 패턴 필름을 만들 때 한꺼번에 넓은 영역을 인쇄(패터닝)할 수 있다면 제작 속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기존에는 반도체에 패턴을 만드는 공정인 포토리소그래피나 ...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11.11
- 높은 ‘다형성 전고체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글자나 그림을 인쇄하듯 전지를 만드는 ‘프린팅 공정’을 적용해 리튬-황 전지의 고질적 문제인 전지 수명 감소를 해결한 ‘이중층 고분자 전해질’이 핵심 기술이다. 리튬-황 전지는 리튬을 음극재로, 황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 ...
-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신축성 전자시스템 권위자 홍용택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9.11.06
- 내부에 수~수십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딱딱한 투명 아일랜드 구조를 인쇄공정을 이용해 삽입했다. 이 기판에 전자 시스템이 구현될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심한 기계적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전자 시스템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홍 교수는 2017~2019년 3년 연속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