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기의식"(으)로 총 2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기꾼이 출세하는 더러운 세상! 살고싶지 않아요. 어떻게 할까요?2016.11.14
- ▶ 고민 자기가 책임질 일은 요리조리 빠져나가면서, 공은 혼자 독차지하는 동료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회사에서는 늘 칭찬을 받습니다. 이러한 고충을 윗선에 보고하기도 어렵습니다. 여기저기 자기 편도 많아서, 자칫하면 왕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은 하지 않으면서 매사를 적당한 거짓말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무엇인가를 믿는 행위 - 종교 뿐만 아니라 각종 미신 등 - 에는 불안과 불확실성, 공포 등의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살면서 부딪히는 모든 문제들을 통제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안타깝게도 삶의 많은 부분이 우리의 통제 바깥에 있다. 작게는 오늘의 날씨나 교통체증, 오늘 상사의 ... ...
- 시위 참여 독려 글에 좋아요를 눌렀다...야동 광고로 바뀌었다2016.11.08
- 지난달 29일 '국정 농단' 사태에 항의하는 촛불 집회가 서울 시내에서 열렸습니다. 페이스북에서 이 집회 관련 내용으로 큰 인기를 얻은 포스트가 하나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실시간 서울 촛불 시위 현장, 가지 못 하시는 분들은 좋아요 눌러서 공유해 주세요'라는 글과 함께 시위 현장 사진을 ... ...
- [궁금한 이슈 why] 페이스북은 왜 스노우를 인수하고 싶어 했을까?2016.11.02
-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가 이해진 네이버 의장에게 까였다고 (?) 합니다. 지난 여름 동영상 카메라 앱 '스노우'를 인수하고 싶어 저커버그 CEO가 이해진 의장에게 전화했는데, 이 의장이 팔지 않겠다고 거절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스노우는 요즘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카메라 앱입니다. ... ...
- [멘탈테스트] 당신은 얼마나 멘탈이 강한 사람입니까2016.10.25
- 삶이 항상 즐겁고 행복한 일로만 가득하면 좋겠으나 그렇지 못한 게 현실이다. 예상치 못한 장벽에 부딪히기도 하고 관계적인 문제로 인해 상처를 입곤 한다. 때로는 불의한 일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를 넘어지고 좌절하게 만드는 일들이 가득한 삶에서 중요한 것은 ‘다시 일어서는 ... ...
- 두 글자 제목 영화, ‘럭키‘ ’춘몽‘ ’자백’2016.10.13
- 기나긴 여름이 지나간지 얼마나 됐다고 벌써부터 겨울처럼 칼바람이 매섭다. 사계절이 아니라 매년 여름-겨울의 반복인 것 같지만 날씨가 어떻든 그래도 영화는 끊임없이 개봉한다. 지난 주 소개한 가 예상 외의 선전을 펼친 가운데, 이번 주에는 2글자 영화들이 몰려온다. (콩?) 코미 ... ...
- 자기 방어와 합리화, 어떤 상황에서 튀어나올까2016.10.11
- 기쁨, 신남, 슬픔, 외로움, 쓸쓸함, 놀라움, 당황스러움 등 수많은 감정들의 세계에서 조금 특별하게 학자들의 관심을 받는 감정들이 있다. 부끄러움(shame)과 죄책감(guilt)이 그것이다. 감정들은 그들의 원천과 기능에 따라 주목을 받곤 하는데 부끄러움과 죄책감은 자의식적 정서(self-conscious emotion)로 ... ...
- 우울함을 다스리는 방법2016.10.04
- 임상적(clinical) 우울증까지는 아니더라도 누구나 이따금씩 마음이 우울할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늘 뭐든 귀찮게 느껴지고 때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거 같은 무기력이 찾아오기도 한다. 우울한 감정은 어떨 때 찾아오는 걸까? 그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GIB 제공 ● 감정은 신호 학자들에 의하 ... ...
-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10.04
- 아침에 커피 한 잔 부탁해 아침에 커피 한 잔 부탁해^^ 얼굴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문자를 보낼 때에는 같은 문장이라도 이모티콘에 따라 어감이 다르다. 사이버 상에서 문자가 미처 표현하지 못하는 미세한 감정을 이모티콘이 전달하는 셈이다. 가상현실이나 게임에서도 표정이 중요해졌다. 내 ... ...
- 과학이 삶에 봉사하는 방식에 대해: ‘과학적 삶의 양식’에 대한 소고 ①2016.09.09
- 김우재 오타와대 교수 김명호 작가 제공 “과학적 세계이해는 삶에 봉사하며, 삶은 그것을 받아들인다.1)” 오토 노이라트, 한스 한, 루돌프 카르납, “과학적 세계 이해: 비엔나 학단”의 마지막 문장. 과학은 양날의 검이다. 한국사회에서 과학은 ‘과학적’이라는 수식어로 더욱 자주 사람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