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뉴스
"
척추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로클리 교수 "한국은 공룡뿐 아니라 개구리, 물고기, 도마뱀 등 정말 다양한
척추
동물들의 발자국 화석을 만날 수 있어요. 발자국 화석이 있는 한국의 퇴적층은 모두 과거에 호수가 있던 곳인데, 호수는 백악기에 살던 동물이 모이는 장소라 생물 다양성도 아주 높아요. 발자국 화석이 풍부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200만년 전 그린란드, 코끼리의 조상이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0
알려져 있다. 에스케 빌레르슬라우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교수팀은 이 지역에서
척추
동물의 화석을 구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고 화석 대신 환경DNA를 채취하는 방법을 택했다. 환경DNA는 토양이나 물 등 다양한 환경에서 채취된 유전물질로 연구자가 직접 생물과 접촉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 ...
200만년 전 그린란드를 그리다…화석 대신 환경 DNA로 생태계 재현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있다. 이 지역은 200만~300만년 전 지금보다 11~19도 더 따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척추
동물 화석이 발견되는 사례가 드물어 당시 서식했던 생물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다. 빌레르슬라우 교수팀은 구하기 어려운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는 대신 환경DNA를 이용하기로 했다. 환경DNA는 토양, 물, 공기 등 ... ...
몽골서 '다이빙 새' 닮은 반수생 육식 두발 공룡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2.12.02
몽골 옴노고비 지역에서 2008년에 발견한 화석을 분석한 것이다. 당시 이 공룡은 두개골과
척추
, 앞발 한 개, 뒷발 두 개 등 거의 완벽한 골격을 갖춘 형태로 발굴됐다. 오리 정도 크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공룡은 후기 백악기인 7천200만∼7천100만 년 전 호수 등 민물 지대였던 고비 사막 일대에 ... ...
문어가 똑똑한 이유…"인간 뇌 발달과 공통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있다"며 "인간과 문어의 연결점을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로 문어의 뇌가
척추
동물과 유사한 발달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이 드러났지만 진화적으로 문어가 어떻게 복잡한 신경계를 갖게 됐는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라제프스키 교수는 "어떤 유형의 세포가 새로운 마이크로RNA를 발현하는지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⑫ 트라우마→감정상처...전문가 선정 바꿔야할 과학·의학 용어
2022.11.27
단지 원반을 가르키는 용어이지만 일상에서 매우 널리 쓰이고 있다"며 "의학에서 뜻하는 '
척추
사이원반(intervertebral disc)'을 자연스레 연상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한자어로는 원어의 뜻을 살려 추간판이라고 하는데 한자를 알지 못하면 오해하기가 쉽다"며 "무척 흔한용어로 누구나 이미 잘 ... ...
"한국 공룡발자국 화석이 단연 1등…세계유산 등재되도록 노력"
연합뉴스
l
2022.11.11
위해서라면 기꺼이 역할을 하겠다는 그의 태도는 진지했다. 로클리 교수는 중생대
척추
동물 발자국 화석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다. 그는 1987년 경남 고성군 덕명리 해안의 발자국 화석 산지를 처음 찾은 이후 한반도의 백악기 공룡 생태계를 규명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세계 학계에 한국의 공룡 ... ...
"전기자극으로 척수손상 치료"…재활 과정 세포 수준에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하반신 마비 환자를 위한 EES 치료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했다. 전기자극을 주는 위치를
척추
뒤에서 옆쪽으로 바꿔 개별 신경까지도 자극할 수 있도록 하거나 태블릿을 이용해 환자가 원하는 움직임의 형태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신호가 복부에 이식한 신경자극기로 전달돼 필요한 근육이 움직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날개 패턴 만든 고대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동일한 CRE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CRE와 표현형 특성 진화를 연구하면
척추
동물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유전자 발현 조절 역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공룡알은 딱딱해' 韓 연구자가 美 자연서박물관 연구 결과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박사후연구원은 2015년부터 고생물학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척추
고생물학계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미국과 중국의 시스템을 모두 경험해보자는 생각에 2020~2021년 미국 몬태나주립대를 거쳐 지난해 중국에 자리를 잡았다. 그는 8500만 년 전 살았던 공룡알 화석과 현생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