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방
되풀이
답습
겉치레
모의
시늉
인용
뉴스
"
흉내
"(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 ①]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03.05
학습한 알파고는 고수들이 어디 둘지를 50% 이상의 높은 확률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한
흉내
를 내는 데 그치지 않고, 알파고끼리 대결을 시켜 더 나은 전략을 찾았다. 준 알파고1과 알파고2를 만들어 대결시켰단 말인가. 한 알파고1은 현재의 전략을 고수하고, 알파고2는 알파고1을 이길 최선의 ... ...
[횡설수설/송평인]바둑, 인간 vs 컴퓨터
동아일보
l
2016.01.29
생각법’에서 “이 네 점은 프로 기사의 창의성과 기풍의 차이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흉내
낼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고 썼다. 그러나 27일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가 맞바둑에서 프로 기사를 이겼다. 다만 상대는 유럽 바둑 챔피언인 중국계 판후이 2단이었다. 유럽 프로 바둑계의 실력은 ... ...
스파이더맨 발 크기 계산해보니 5.016m?
2016.01.19
나온다. 온몸에 끈적끈적한 패드를 도배해야만 겨우 달려 있는 수준으로 스파이더맨
흉내
를 낼 수 있다는 얘기다. 페델레 교수는 “동물의 몸집이 커질수록 단위 부피 당 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이라며 “사람이 도마뱀처럼 벽을 기어 다니려면 발 사이즈가 최소 5.016m는 돼야 한다”고 ... ...
핵실험 명령서 필적 분석으로 본 김정은
동아일보
l
2016.01.08
할아버지 김일성 따라 하기에 집착하는 김정은이 서류 결재 형식 역시 김일성의 방식을
흉내
냈을 가능성도 있다. 아날로그 세대인 김일성은 손으로 쓴 글씨가 눈에 익다는 이유로 사망할 때까지 필사된 서류를 고집했다. 김준일 jikim@donga.com·주성하 기자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 ...
[신나는 공부]꿈을 만나다
동아일보
l
2015.11.03
않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눈치와 순발력이 중요한 동시통역사의 일을 기계가 쉽게
흉내
낼 수 없는 이유다. “동시통역이라고 해서 모든 말을 다 통역하는 것은 아니에요. 통역이 진행되는 분위기에 맞춰 중요하지 않은 얘기나 농담은 걸러낼 수 있어야 하죠. 그러려면 말하는 사람의 심리 상태를 ... ...
진짜 같은 인공 세포핵 첫 개발
2015.10.05
내부에서 생산해낸다. 표면은 세포막 투과도 가능하도록 만들어 대부분의 세포핵 기능을
흉내
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연구진은 인공 세포핵을 이용하면 선천적인 유전질환 치료법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유전질환을 치료하려면 정상적인 유전자를 대상 세포에 전달하는 ... ...
‘휴보’도 못 가진 손가락 단 산업용 로봇 첫 개발
2015.10.01
올려 조립한다. 양 손에 각 16개 씩, 모두 50개의 관절을 갖고 있어 다양한 인체 동작을
흉내
낼 수 있다. 특히 오차 0.05㎜ 수준의 정밀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이 로봇은 사람처럼 손끝에 전해져 오는 힘을 느끼고 이리저리 손을 움직여가며 부품을 정확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사람 손처럼 ... ...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
2015.09.04
생체인증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문 같은 생체정보는 간단하면서도, 다른 사람이
흉내
를 내거나 똑같이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신체의 특징은 각 사람마다 고유할 뿐만 아니라, 평생 동안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미 ‘애플 페이’는 기존의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중간에 길이 10cm 정도의 스프링이 달려 있다. ‘휴보’ 같은 최첨단 이족보행로봇이 사람
흉내
를 내는 시대에 초등학생들이 만든 것 같은 엉성한 장비를 만들어 ‘네이처’ 같은 일급저널에 논문을 냈다는 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다. 도대체 무동력발목외골격은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 걷기의 ... ...
저는 말랑한 ‘개구리 로봇’입니다
2015.07.14
생체모방 로봇은 생물의 뛰는 방법을 모사하기 마련이지만 이 로봇은 개구리 뒷다리를
흉내
내지 않고도 개구리의 점프력을 재현했다. 개구리 로봇의 점프 비결은 로봇 아래쪽에 붙어 있는 말랑한 렌즈다. 평소에는 렌즈의 오목한 면이 아래로 가 개구리 로봇이 멈춰 있지만 부탄과 산소를 섞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