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스페셜
"
공학
"(으)로 총 1,9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아태 측정표준 협력기구 젊은 과학자상에 표준연 이석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전문 국제기구다. ■서울대 공대는 김윤영 기계
공학
부 석좌교수가 일본 계산과학
공학
회가 수여하는 2022년 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아시아 학자 최초다. 해당 상은 관련분야의 전세계 학자 중에서 국제적으로 선도적이고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학자에게 수여한다. 김 석좌교수는 ... ...
[과기원은 지금] 이재석 GIST 교수팀 항생제 내성 극복 항생물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브라이토닉스이미징’ 등이 꼽혔다.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
공학
과 교수팀은 ‘비정형 다공성 고분자 소재’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소재는 물 속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소재다. 연구팀은 향후 상업화 가능한 고효율 흡착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 ...
[과학게시판]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개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교수·오준호 KAIST 명예교수·민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본부장이 '한국과학상·
공학
상'을 받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5일 오후 1시 30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해양신산업 발굴'을 주제로 국회 해양정책연구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동해 해저 청정 ... ...
[과기원은 지금] KAIST팀 상금규모 26억 해양로봇대회 결선 진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상금이 수여되는 역대 해양로봇분야 경진대회 중 가장 큰 규모다. ■노용영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14일 열증착 공정으로 황화비스무트로 고성능 N형 반도체와 텔루륨 고성능 P형 반도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개발에 성공한 방식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발광소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무한한 잠재력 지닌 세포
공학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진단이나 치료에 쓰이는 세포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언스는 “세포
공학
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졌다”며 “인간 발달이나 조직 재생, 질병 치료 등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이 제어되는 방법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최경철 KAIST 교수팀, OLED로 소아황달 치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23
밝혔다. 이 학술지는 재생에너지 분야 저널이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지구·환경
공학
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이 내구성이 향상된 니켈-철 기반 비귀금속 수전해 촉매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비귀금속 촉매의 수명을 70배 늘린 것이다. 물을 분해해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공정의 상용화를 ... ...
[과학게시판] 제4차 생명
공학
육성 기본계획 공청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23
생명
공학
육성 기본계획은 생명
공학
육성법에 근거해 15개 부처청이 참여해 수립하는 생명
공학
분야 연구개발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공청회는 과기정통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에서 '대형연구시설 구축 지원단' ... ...
[과기원은 지금] 강지형 KAIST 교수팀, 신축성 갖는 전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김현준 박사과정, 강지형 교수, 이원범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강지형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액체 금속으로 고무처럼 신축성을 갖는 전자회로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나 체내 삽입기기, 로봇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과학자 개발 '고무처럼 휘는 다재다능 회로기판'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유지하는 동시에 변형에 민감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강지형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기존 PBC 제조 공정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 결과를 10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음파를 이용해 두 가지 크기의 액체 금속 입자를 중합체로 조립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대량생산’을 의미하는 '공'이 삽입된 '유전
공학
'이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이다. 유전
공학
과의 신입생 모집 광고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쥐보다 훨씬 큰 쥐를 만들 수 있고, 젖소의 우유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방법을 공부하는 내용을 볼 수 있기도 했다. 듣기에 따라서는 환상적으로 보이기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