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스페셜
"
논리
"(으)로 총 2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체온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생존율을 비교했다. 반신욕
논리
라면 체온이 높은 그룹이 면역력이 강하므로 생존율이 더 높을 것이다. 그러나 결과는 반대였다. 아래 그래프에서 볼 있듯이 체온이 낮은 그룹이 25년 뒤 생존율이 더 높았다. 2006년 역시 ‘사이언스’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갈팡질팡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
2019.12.28
그러니까 7에서 3을 빼면 답은 4다. 따라서 24가 정답인 것이다. 틀린 답일지언정 나름
논리
적인 설명이다. 흥미롭게도 비슷한 문제들이 여러개가 출제되면 100점을 받거나 아니면 다 틀려서 0점을 받는 경우가 많다. 해당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아이들은 계속해서 올바른 방법으로 ... ...
“소재·부품·장비 克日 내부 역량부터 분석해 기업 갈증 풀어야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2.06
약 4개월이 지났다. 현 상황을 어떻게 보나. 소재부품 산업 특성을 반영하는 시장의
논리
와 불문율을 일본 측이 일방적으로 깨뜨렸다.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최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실제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피해가 크지 않다. 초기에 가졌던 긴장감에 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반박했다. 한편 그린피스는 황금쌀이 GMO 업계의 총아라고 맹공하지만 이 역시
논리
가 맞지 않는다. GR0.0을 개발한 스위스와 독일의 공동연구자들로부터 후속 연구를 물려받은 신젠타의 경우 이런 비난이 높아지자 베타카로틴 함량을 크게 높인 황금쌀(GR2) 개발을 끝낸 직후인 2004년 10월 16일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주요
논리
입니다. 최근 동아사이언스에 실린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칼럼도 이런
논리
에 근거하여 긴 내용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김우재 박사는 최근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라는 글에서 기초과학연구원 탄생 배경을 담은 ‘사회 속의 기초과학’에 대해 논하면서 “노벨상을 ... ...
3년 넘게 끌어온 전문연구요원제 논란…숙제는 여전히 산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7월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전문연구요원 제도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국방부는 이 자리서 전문연 축소방안을 철회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이 ... 때문이다. 결국 감축의 칼날을 피해가지 못하면서 향후 추가 감축 움직임에 대비해 이를 막을
논리
를 제시해야 하는 숙제를 받게 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손실만 해도 감당하기 어려운데 “니코틴이나 에탄올보다 더 해로운 약물은 아니다”는
논리
로 풀어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건 무리다. 다만 정치적인 목적으로 폐해가 터무니없이 과장돼 치료제로서의 엄청난 잠재력까지 매몰된 LSD의 역사는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역사에는 만일이 없다지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하는 명분이 되는 것이다. 노벨상 수상을 위해 기초과학을 지원해야 한다는 해괴한
논리
는 바로 이 시기에 시작되었고, 정부는 이에 발맞춰 고등과학원(KIAS)를 설립한다. 이는 지금까지 정부의 지원에서 소외되었던 기초과학연구자들의 갈증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했다. 한국 최초의 ... ...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나중에 진로를 바꿨다”며 “비록 전공은 안 했지만, 젊어서 배운 두 학문이 명확하고
논리
적, 비판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털어놨다. 의사가 된 이후에도 실험실에서 일하다가 기초연구의 매력에 눈을 떴다. 여기에서 그는 노벨상 수상 업적과는 언뜻 전혀 관련이 없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게 마땅하지 않냐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 그 말은 그대로 본인한테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논리
대로라면 모든 면에서 완벽한 신 같은 존재가 아닌 한 자신도 누군가에게 똑같이 비난 받아 마땅한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타인은 비난하면서도 자신에 의견에 대한 비판 등은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향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