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현
서술
기술
특징짓기
그리기
표시
스페셜
"
묘사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수기에 직접 그린 그림으로 거대한 향유고래(오른쪽)가 에식스호를 들이받는 장면을
묘사
하고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PS. 에식스호 비극의 진실 필자는 ‘조선일보’ 토요일자에 실리는 남정욱 숭실대 문예창작학과 교수의 ‘명랑소설(笑說)’이라는 코너를 즐겨 읽는데 지난주 글도 재미있었다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 3. 항원에 항체가 달라붙은 모습을
묘사
한 일러스트. 거의 모든 단백질은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생물이나 생화학물질을 검출할 때 항체를 종종 이용한다. 단 키트를 만들기 위해선 이에 필요한 항체를 개발하는 것이 문제였다.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추가 미션에 500일이 넘게 소요되는 이유다. 또 영화에서는 탐사선이 상당히 쾌적하게
묘사
돼 있어서 주조종실과 생활공간이 꽤 널찍할 뿐 아니라 바퀴처럼 원을 그리며 회전해 원심력으로 중력을 만들어내 대원들이 바닥에 ‘발을 붙이고’ 생활한다. 그러나 이렇게 쾌적한 탐사선은 현실적으로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아래는 거리지각에 양안시와 심도의 기여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묘사
한 그림.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연구자들은 지난 2012년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물체의 거리를 파악하는데 양안시의 입체정보뿐 아니라 심도도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심도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피터 파커는 방사선에 의해 변이된 거미에 물려 초능력을 얻는다. 실제로 코믹스에서
묘사
된 방사선의 양은 TV 앞을 지나갈 때 받는 수준에 불과했지만 당시에는 방사능에 대한 우려로 과장된 작품들이 제법 나왔다. 한편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로봇 캐릭터인 ‘우주소년 아톰’은 이름에서도 알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자기홀극은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입자와는 완전히 다르다고 한다. 흔히 입자는 점으로
묘사
되지만, 자기홀극은 '위상학적 입자'로, 마치 실이 꼬인 실타래 같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입자이므로 중요하다는 것. 한편으로는 완전히 다른 입자기 때문에 가속기에서 만들면 관측은 ... ...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했겠지만 실록에 그저 ‘흙비가 왔다’는 수준으로 언급될 뿐, 구체적인 피해가
묘사
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지금은 사정이 바뀌었다. 황사로 인한 문제가 중국이 본격적으로 공업화된 이후에 특히 두드러지는데, 이는 중국에 들어선 온갖 공장들에서 내뿜는 매연이 크게 늘고 중국 서쪽에서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거시 세계는 상대성이론으로 잘 설명된다. 미시 세계는 양자역학으로 정확하게
묘사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어떤 관계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상대성이론의 핵심 원리 중 하나인 곡면기하학의 기본 개념들이 미시세계에서 난잡하게 요동치는 공간에는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요컨대,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신화에서는 태초의 사건으로부터 세상의 모든 신과 사물과 이야기가 뻗어나온 것으로
묘사
하곤 한다. 구도의 길은 흔히 근원을 찾아가는 여정으로 해석된다. 요컨대, 지식의 원형이 바로 이야기였으며 모든 이야기는 세상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셈이다. 이야기의 근원, 암흑물질 빅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때문이다. 바로 조삼모사 상황이다. 즉 사람들은 동일한 내용이라도 긍정적으로
묘사
될 경우 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담이 있는 이유다. ● 남성이 프레임에 더 약해 그렇다면 이런 비합리적인 결정을 이끌어내는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는 사람에게만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