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스페셜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0년 전 12월 24일,
미항공우주국
(NASA) 소속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윌리엄 앤더스가 찍은 '지구돋이'. -NASA 제공 ‘지구돋이(Earth rise)’.
미항공우주국
(NASA)의 공식 기록인 'AS8-14-2383HR '사진에 붙은 이름이다.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인 1968년 12월 24일 달 궤도를 돌던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윌리엄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미국 로스앤젤레스 북쪽 모하비 사막에서 82.7㎞ 고도까지 올라갔다. 미 공군과
미항공우주국
(NASA)은 약 80.5㎞를 우주 경계로 인정한다. 이에 따라 VSS유니티는 미국의 우주왕복선 프로젝트가 멈춘 2011년 이후 처음 미국 땅에서 발사된 유인 우주선이 됐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의 블루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사상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을 시도할 예정인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4호’가 8일 오전 3시 23분(현지 시간 오전 2시 23분) 중국 쓰촨성 시창위성발사센터에서 중국의 우주발사체 ‘창정(롱 마치) 3B’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최초로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달 뒷면에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민간주도 발사체 개발 시스템 완성한 美우주산업 현장 르포 발사 전문 회사 ‘버진 오빗’…1단 로켓 없이 항공기서 2단 로켓 발사 준비기간 10개월 3억원으로 소형위성 발사 가능 로켓랩, 스트라토런치시스템 등 위성발사시장 진출 중 버진 오빗 제공 지난 9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했다. 문득 2010년 ‘비소박테리아’ 논문 해프닝이 떠오른다. 당시
미항공우주국
(NASA)은 정말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고 며칠 뒤 기자회견에서 DNA이중나선 골격에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혀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러나 오래지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구글은 2015년도에도 한층 개선된 1000큐비트의 ‘디웨이브2X’를 도입하기도 했다.
미항공우주국
(NASA) 에임스 연구센터에 설치된 디웨이브 양자컴퓨터. -NASA 제공 이 컴퓨터에 적용된 양자 어닐링 기술은 큐비트 신호를 처리하는 양자 게이트를 이용하는 범용 양자컴퓨터와는 다른 자연계에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VLA)을 갖고 일하게 됐다며 마오는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그러면서 현재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을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매더에게 JWST(2018년 설치될 예정)에서 얻을 가장 중요한 결과가 무엇일지 묻고 있다. 1997년 개봉한 영화 ‘콘택트’ 포스터의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박테리오파지가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
(NASA)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의 모습과 박테리아 표면에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그래비티’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즉 두 영화는 현재 일어나고 있거나 이번 세기(
미항공우주국
(NASA)은 2030년대 유인화성탐사를 계획하고 있다) 안에 일어날 가능성이 아주 높은 소재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인터스텔라’는 말 그대로 ‘공상’과학영화다. ‘그래비티’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