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스페셜
"
셀
"(으)로 총 2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정착한 구강미생물을 발견하고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그 결과 대장의 염증이 심해진다.
셀
제공 치주염은 미생물과 면역계 활동의 부정적인 결과다. 어금니를 실로 묶어 클렙시엘라속과 엔테로박터속 구강미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돼 이 녀석들의 밀도가 높아지면 면역계가 이를 인식해 ... ...
[게놈과 인류사]"한국인 주류, 남중국-동남아인의 복잡한 혼혈"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이 과정은 지난달 말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와 정충원 서울대 교수팀의 '
셀
' 논문으로도 보다 자세히 확인됐다. 데이터 수도 아쉬움이 있다. 이번 연구는 드넓은 아시아 전역에서 수만 년 사이에 일어난 인구집단의 이동을 115개의 고대인 데이터로 분석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천 년 ... ...
[게놈과 인류사]3500년 전 우물서 생을 마감한 그녀에게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일부 멀리 중앙아시아나 이란 동부에서 이주한 인물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셀
제공 이 지역 연구는 언어 진화 연구에도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 현재 영어 등 유럽 여러 국가가 사용하는 언어는 인도유럽어로 분류된다. 인도유럽어가 어디에서 어떻게 발생해 유럽에 퍼졌는지는 여전히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이동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지난달 22일
셀
에 발표한 논문도 마찬가지다. 이번에는 유라시아와 최초의 아메리카인이 주제였다. 연구팀은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서쪽 부근에 약 1만 년에 걸쳐 살던 후기 신석기~청동기 시대 인류 유골의 유전적 특성을 ... ...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감염 통로로 삼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의 양도 감염력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셀
제공 그 결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호흡기 중 코 세포에서 가장 감염이 잘 일어난 반면 폐포 세포에서는 감염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감염력은 코, 기관지, 세기관지, 1형 폐포, 2형 폐포 순으로 나타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가상 전극까지 만든다면(아래 오른쪽 ‘동적 전류 조정’) 글자를 쉽게 ‘볼 수’ 있다.
셀
제공 미국 베일러의대 대니얼 요셔 교수팀은 차세대 시각피질 보철을 개발하기 위해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방향에서 접근했다. 전극 수를 늘려 해상도를 높이는 대신(그렇게 되지도 않지만) ... ...
[기고]코로나19로 주목 받는 바이오의약품,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시급하다
2020.05.15
임상시험 도중 참여자 1명이 뇌부종으로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또 같은 CAR-T 치료제인
셀
레틱스의 UCART123 임상시험 참여자가 사이토카인 증후군 부작용으로 사망했다. 유사한 치료제인 스템라인테라퓨틱스의 SL-401을 투여한 혈액암 환자가 사망한 적도 있다. 사이토카인의 과다분비로 인한 ... ...
"렘데시비르 600분의 1 농도로 코로나19 치료 가능한 치료 후보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인식한다.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독일 샤리테의대 교수팀이 3월 7일 생명과학 학술지 ‘
셀
’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 과정에 TMPRSS2라는 세린 프로테아제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쪼개는 과정이 필요하다(아래 그림 맨 왼쪽).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는 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해 항바이러스 효과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수도원의 작은 방들 또는 벌집의 조그만 구멍들과 비슷해 보였다. 그래서 붙인 이름이 ‘
셀
(cell)’이었다. 훅은 세포를 발견했다. 훅이 발견한 것은 살아 있는 세포가 아니라 죽은 세포벽이었다. 지금 우리가 세포하면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미지와 훅이 현미경으로 봤던 세포는 좀 다른 셈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두려워할 이유 없다
2020.05.13
더욱 빠르고 심하게 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인류 역사에서 코로나19 정도의 난관은 수를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많았다. 전염병은 더 잦아지지 않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무분별한 환경파괴의 결과라는 주장이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삶의 보금자리를 잃어버린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