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좌우"(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보인다 (Fiske, 2004). 사람에 대한 판단이 기본적으로 (나에게) 따듯하냐 아니냐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특정 사건에서 특정 행위로 인한 잘잘못을 가리거나 책임을 묻는 상황에서도 해당 사건과 전혀 상관 없는 행실, 평소 됨됨이가 갑자기 수면 위로 떠오르고, 정작 중요한 사실들을 가려버리는 일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코발트 1.28)!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대체하는 속도가 리튬이온배터리의 성장속도를 좌우할 것이다. 오늘날 전기차 혁명을 이끌고 있는 테슬라는 2016년 야심작 ‘모델3’를 공개했다. 3만 달러 대 보급형으로 사전 예약만 45만 건이 넘었고 지난해 소량 생산되기 시작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않을’ 수 있는 힘이라고 정의했다(Galinsky et al., 2008). 자율성과 주체성도 재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사실이, 사회가 여기에 일조하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씁쓸하게 느껴졌다. 참고: Ding, Y., Wu, J., Ji, T., Chen, X., & Van Lange, P. A. (2017). The rich are easily offended by unfairness: Wealth triggers spiteful rejection of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체내 DHA 농도가 꽤 올라가고 섭취를 끊으면 다시 내려간다. DHA는 세포막의 물리적 특성을 좌우하는 성분으로서도 중요하지만 그 대사산물이 각종 생체반응에 관여하면서 항염증, 항산화, 면역증진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보인다. 평소 해산물을 잘 안 먹는 사람은 오메가3 캡슐이라도 챙겨야 하는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최대값이 그 수준이다. 쉬창 1 두개골은 정수리가 낮고 옆으로 퍼졌다. 그 결과 좌우 폭이 가장 넓은 지점의 길이는 지금까지 측정한 인류의 두개골 가운데 가장 길다. 또 다른 두개골인 ‘쉬창 2’는 뼈가 부족해 뇌용량을 계산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적어도 네안데르탈인 수준은 되는 것으로 보인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성공, IQ보다 성격에 달렸다?!2017.01.10
- 구별하면서 사실 성적 못지 않게 ‘취업’같은 영역도 사회성 같은 soft skill들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실제로 사회성이 좋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취업이 잘 되고 승진이 빠르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한편 연구자들은 IQ가 많이 낮은 경우를 제외하고 사실 삶에 있어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인지발달이 단순히 나이가 들면서 저절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교육의 질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네갈의 아이들을 조사해 쓰기와 읽기를 배우지 못하면 마음이 ‘현대화’될 수 없음을 보이기도 했다. 1972년 영국 옥스퍼드대로 자리를 옮긴 브루너는 아기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이름 붙였다. 즉 냄새에 대한 지각(다운)이 냄새에 대한 기존 정보(탑)에 크게 좌우된다는 말이다. 1906년 일본 농학자 사와무라 신 박사는 낫토에서 발효를 담당한 박테리아인 낫토균(Bacillus subtilis var. natto)을 발견했다. 낫토균은 청국장 발효에도 관여한다. 낫토균을 비롯한 여러 박테리아가 발의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지역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는 별 차이가 없으므로 기온과 습도가 두 식물의 경쟁력을 좌우한다. 실제 두 식물의 분포를 보면 저위도에서 C4 식물이 우세하고 중위도, 고위도에서 C3 식물이 우세하다. 1966년 당시 호주 콜로니얼제당주식회사의 연구원 할 해치와 로저 슬랙은 학술지 ‘생화학 ...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2016.08.29
- 음향 블랙홀에서 일어나는 호킹복사를 강물과 물고기로 비유한 그림. 앞의 그림과 좌우가 바뀐 상태다(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자세한 설명은 본문 참조. - 네이처 물리학 제공 ● 극저온에서 음향 블랙홀 만들어 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8월 15일자 온라인판에는 유사 블랙홀에서 유사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