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SMR, 일반 원전보다 더 많은 방사성 폐기물 배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원자로 구성 물질은 중성자로 인해 방사성을 띠게 된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SMR은
크기
가 작아 기존 상용 원자로보다 핵분열 반응 과정에서 더많은 중성자가 튀어나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성자가 더 많이 튀어나오는 현상은 방사성 폐기물 양과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은 SMR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공룡의 피는 따뜻했을까
2022.05.31
차이는 꽤 크다. 후자의 경우 체온을 유지하려면 에너지 소모량이 엄청나 포유류는 같은
크기
인 파충류의 열 배가 넘는다. 대신 늘 높은 체온을 유지하는 덕분에 활동성이 크고 지구력이 향상됐다. 또 추운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대할 수도 있다. 내온성 공룡과 외온성 공룡 사이에서도 이 정도의 ... ...
지속가능한 친환경연료 시험무대 '인디500' 자동차 경주대회 D-1
동아사이언스
l
2022.05.29
도입됐다. 바이오에탄올이 메탄올보다 몸에 덜 해로우며 연비 또한 높아 연료탱크의
크기
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더 빠른 속도를 내는 경주를 펼칠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또 환경오염이 인류의 중요 의제로 떠오르며 휘발유 엔진 연소과정에서 이상 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한계 수치인 옥탄가가 높아 ... ...
두 물질 접촉면의 온도차 전기를 만들다…한국 과학자들 마찰전기 발생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열전도도 등 물질 특성으로 구성된다. 또 마찰전기로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차이의
크기
를 예측하는 ‘마찰전기 파워’라는 물리량도 처음으로 제안했다.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해 부정확하다는 인식으로 2015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는 ‘마찰 대전열’이 이번 연구로 ... ...
한컴, 지구관측위성 '세종 1호' 발사 성공…국내 첫 위성 보유 민간기업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고도 500㎞ 궤도에서 약 90분에 한 번씩 지구를 돈다. 세종 1호는 20㎞의 관측 폭에 5m
크기
물체를 분간할 수 있는 관측 카메라로 7가지 파장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발사 후 약 한 달간의 시험테스트 과정을 거쳐 카메라로 지구관측 영상 데이터를 확보한다. 위성 가동 후에는 위성영상 데이터 ... ...
에어버스, 차세대 군집위성 '플레아데스 네오' 구축 준비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2.05.24
위성인 3~6호로 구성되며 고도 620km에 띄워 군집 위성 체계를 구축하면 지구 전역에서 30cm
크기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해상도로 영상촬영을 할 수 있다. 원하는 지점에 하루 최대 2회 방문해 촬영이 가능하다. 플레아데스 네오 위성은 탄화규소 광학 장치를 장착해 무게를 줄였다. 위성간 레이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버틴 원석조류의 숨은 복원력
동아사이언스
l
2022.05.22
비늘의
크기
는 약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 비늘을 포함한 전체
크기
는 약 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정도다. 연구진은 이번에 약 1억 8300만년전 것으로 추정되는 퇴적암에 보존된 원석조류를 촬영했다. 과학자들은 원석조류의 양을 지구가 지구온난화에 얼마나 ... ...
스페이스X 재사용 로켓, 환경에 얼마나 영향 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20
쓰는 로켓 ‘프라임’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영국 액서터대와 공동연구 결과 비슷한
크기
의 화석연료 로켓보다 탄소배출량을 86% 줄일 것이란 분석 결과를 내놨다. 미국 스타트업 블루시프트도 올해 3월 소형 고체 바이오 연료를 이용한 로켓 ‘스타터스트’의 엔진 연소시험에 처음 성공했다 ... ...
[과기원은 지금] 난치성 통증 AI 협력연구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19
것이다. 실험용 쥐 같은 작은 동물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었으나 고양이와 같은 중간
크기
동물 생체영상 촬영에 적용할 수 있다. 국제학술지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산업전자학술지’에 지난달 29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 ...
한컴, 25일 국내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 '세종 1호'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500㎞궤도에서 약 90분에 한 번씩 지구를 돈다. 세종 1호는 20㎞의 관측폭에 5m
크기
물체를 분간할 수 있는 관측 카메라로 7가지 파장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발사 후 약 한 달간의 시험테스트 과정을 거쳐 5m 해상도 관측 카메라로 지구관측 영상 데이터를 확보한다. 위성 가동 후에는 위성영상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