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스페셜
"
풀
"(으)로 총 25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 무찌르는 용사는 '뼈'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단단한 무기가 몸속에 있다. 바로 '뼈'다. 이전에는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것을
풀
기 위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는 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이 신장 부신에사 분비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들 호르몬이 작용하려면 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Artemisinin)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벨상수상위원회 제공. 인간은 낫으로
풀
을 베고 숲을 개간했지만, 덕분에 모기와 재회하게 되었다. 말라리아라는 불청객이 찾아왔고 수많은 사람이 말라리아에 걸려 죽어갔다. 하지만 인간은 두 번째 낫을 만들었다. 바로 자신의 적혈구를 낫 모양으로 ... ...
고기 덜 먹으면 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초원에서
풀
을 뜯는 소. 기후변화를 줄이기 위해 고기 섭취를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이달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에서 공식 채택됐다. 이정아 기자 쇠고기와 양고기 등 붉은 육류에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아 과다하게 섭취하면 심혈관질환이나 대사증후군이 발생할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낫과 말라리아 인간은 낫을 만들었다. 낫으로
풀
을 베고 숲을 개간했지만, 덕분에 모기와 재회하게 되었다. 말라리아라는 불청객도 찾아왔다. 수많은 사람이 말라리아에 걸려 죽어갔다. 판도라의 전염병 상자가 열린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두 번째 낫을 ... ...
미세먼지 잡을 해법찾는 무박2일 끝장 개발현장 가보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10
이번 행사에서도 참가자들은 26일 오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미세먼지 문제를
풀
해법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댔습니다. 행사가 시작되자 남은 시간을 알리는 시계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시간이 줄어드는 걸 보니 졸음이 날아갔다”며 “새벽 5시까지 대부분 ... ...
영장류 중 사람만 비만이 많은 이유는…두뇌 활동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사람은 뚱뚱해지기가 쉽다. 그간 학계에서는 침팬지나 원숭이 등은 주로 야생 과일이나
풀
을 먹지만, 사람은 고칼로리 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을 자주 먹고 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으로 봤다. 그런데 최근 미국 듀크대 연구팀이 사람은 지방을 태워 에너지를 내는 유전자의 발현이 저하돼 비만하기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가죽으로 만든 화살집과 뼈로 만든 송곳, 석기를 가지고 있었고, 등산화 대신 가죽에
풀
을 채운 신발을 신고 있었습니다. 결정적으로 사체와 유물로 방사성탄소 연대를 측정한 결과, 이 등산객이 눈에 파묻힌 시점은 기원전 3300년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사람이 바로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으면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놓았다. 16개의 섬 중 4곳에 말린꼬리 도마뱀을
풀
어놓았고 나머지 지역엔 초록 아놀리를
풀
어놓았다. 그런 다음 약 6년에 걸쳐 도마뱀 종류에 따른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먹이의 변화를 관찰했다. 말린꼬리 도마뱀이 없는 섬에서는 초록 아놀리와 갈색 아놀리가 함께 서식하는 생태계로 변화했다. ... ...
美 달 탐사도 '아웃소싱'…민간기업 만든 착륙선 2020년 달에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부국장은 “이 착륙선들은 달과 태양계, 그리고 그 너머의 많은 과학적 미스터리를
풀
수 있는 흥미진진한 상업적 협력의 시작일 뿐”이라며 “우주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바꿀 뿐 아니라 달과 화성에 대한 인간 임무를 준비할 것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과학 임무뿐 아니라 상업 우주 생태계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풀
수 없다. 일종의 마스터키인 셈이다. 유형별 마스터키만 찾으면 어떤 문제라도 쉽게
풀
린다. 마스터키를 찾는 방법을 잘 익히려면 좋은 학원에 가야 한다. 이 규칙에 길들여지면 세상 모든 문제마다 순식간에 해결해줄 마스터키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과학도 마찬가지이다. 고등과학원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