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이야깃거리
테마
이야기거리
화젯거리
소문
과제
스페셜
"
화제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
2015.11.09
하루 소주 서너 잔이 뇌졸중 예방한다? 지난주 미디어들은 특이한 건강뉴스를 보도해
화제
가 됐다. 서울대 배희준 교수팀이 학술지 ‘신경학’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하루에 소주를 몇 잔 마신 남성들이 그렇지 않은 남성들에 비해 뇌졸중 위험성이 더 낮았다. 즉 하루 한 잔(알코올 10g)은 62%, 두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첫 임상을 실시했다. 파지요법(phage therapy)으로 알려진 이 새로운 치료법은 곧 유럽에서
화제
가 됐다. 실질적인 파지의 아버지인 프랑스의 미생물학자 펠릭스 데렐. 1917년 파지를 재발견한 데렐은 이를 임상에 적용한다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내 1919년 처음으로 파지요법 임상에 들어갔다. - ... ...
반도체와 단백질로 물에서 수소를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1
최근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과 반도체 입자를 결합해 수소를 생산해내는 시스템을 개발해
화제
가 됐다. 바로 서울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이다. 남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광합성 시스템은 단백질을 재료로 쓰면서 물과 빛만을 가하는 친환경 방식을 도입한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한 ...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
KISTI
l
2015.09.29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도 게재돼
화제
를 모았다. ■ 기상 시간 강요에 잠이 늘 부족한 저녁형, 비만과 우울증 발병률 높아 하지만 건강면에서는 저녁형을 우려하는 연구결과가 많다. 얼마 전 고려대안산병원 김난희 교수팀은 47~59세 성인 남녀 1 ... ...
우주개발과 원자력 기술의 역사와 오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18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특수하게 제작한다. 원자력전지는 최근에 명왕성을 탐사해
화제
가 된 뉴호라이즌호와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1호와 보이저2호 같은 우주탐사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이저1호와 2호는 각각 3개의 원자력전지로 전력을 공급받으며 우주를 여행하고 있다. 이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지난 2013년 10월 18일자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 의문에 답하는 연구결과가 소개돼
화제
가 됐는데, 바로 ‘글림프 시스템(glymphatic system)’의 존재다. 즉 뇌세포가 배출한 노폐물을 함유한 뇌척수액을 교세포(glia)가 머금은 뒤 정맥주변 공간으로 보내고 노폐물이 정맥을 따라 이동해 목에서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
2015.06.23
극복하고 이태규는 일본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리나라와 일본 언론에서는
화제
를 낳았지만,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이태규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그래서 일본에 남아 7년 동안 조수로 연구에 몰두한 결과, 조교수로 임용되기도 했다. 그의 지도교수였던 호리바 신지찌는 “학문에 민족이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2012년 11월 NASA는 메신저호가 수성 북극에서 얼음과 유기화합물층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화제
가 됐다. 물론 수성의 극지방에 물이 있을 거라는 사실은 지구에서의 관측에서 이미 예상된 것이었지만 실제 확인하는 건 다른 얘기다.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션 솔로몬은 수성 북극 얼음의 양이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몇 달 전 질소충전과자봉지로 만든 배를 타고 한강을 건너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화제
가 됐다. 질소를 채워 빵빵한 과자봉지를 열어봤더니 정작 과자는 한 줌밖에 안 되더라는 것이다. 물론 도가 지나친 측면이 있지만 감자칩 같은 과자의 경우 외국 제품처럼 단단한 원통 포장용기를 쓰지 않는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최초로 원자들이 만나 분자를 이루는 화학결합의 순간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해
화제
가 됐다. 이 연구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저널 ‘네이처’ 2월 18일자에 게재됐다. KAIST 화학과에 있는 IBS 연구단에서 이효철 그룹리더를 만나, 연구팀이 분자 탄생의 순간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