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옆으로 기울게 만들어 상당히 위험하다. 자동차를 떠올려보면 이해하기 쉽다. 급커브길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운전대를 확 꺾으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차체가 낮아지고 운전자의 몸도 쏠린다.배도 비슷하다. 다만 자동차와 다른 건 핸들이 뒤에 있다는 점이다. 선박의 방향키를 돌리면 ...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끝까지의 길이와 맞먹는 크기로, 지구의 그랜드캐년은 비교의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 길이가 10분의 1, 깊이는 4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착륙일행을 실은 착륙모듈은 속도를 줄여 천천히 하강했다. 행성 표면에서 일어나는 먼지 때문에 선실 밖은 시계가 몇 m도 되지 않았다. 표면중력은 지구의 ... ...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정도로 자유자재로 움직인다? 자율적 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과 더불어 아직은 갈 길 이 멀다.악당계의 끝판왕, 울트론은 과연 언제쯤 눈앞에 나타 날 수 있을까. 울트론의 뛰어난 인공지능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가 받쳐줘야 한다. 수많은 자료를 모으고, 정리한 뒤 원하는 결과를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충돌할 수도 있다. 수천만 년 뒤의 일인데, 그때 양국의 후손들은 다투지 않고 잘 살아가길 빌 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대, 살아서 꿈틀대는 동해를 보았는가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더해 실시간으로 교통정체를 분석한다. 그 결과 막히지 않고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길과, 5분 이내의 오차로 예상 도착 시간을 알려 준다.밟으면 안다! 바닥용 깔개미국 IBM은 실내 바닥용 깔개에 관한 기술을 연구 중이다. 바닥에 깐 깔개가 스마트폰처럼 접촉을 인식해 위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앞으로 어떤 게임을 개발하고 싶으세요?부모님이 추천할 수 있는 게임, 부모님과 같이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 싶어요. 단순히 전투를 하는 게임은 별로예요. 게임 안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내가 맡은 바 역할에 따라서 한 마을의 법을 정하거나 도시를 계획하는 등 고차원적인 일을 할 수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만든 덕분에 영장류가 자유롭게 옮겨 다니며 곤충과 열매를 먹었습니다. 팔다리가 점점 길어졌고 어깨와 손목이 유연해졌지요. 초기 영장류의 손발 화석을 보면, 나무를 타는 데 방해가 되는 날카로운 발톱 대신 둥근 손톱을 갖고 있었습니다. 또한 엄지를 다른 네 발가락과 반대 방향에서 감을 수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시작했다. 식용식물은 배가 부르면 의미가 없어진다. 약용식물은 건강한 사람의 눈길을 끌지 못한다. 그러나 아름다움에 대한 인간의 갈망은 쉽게 채워지지 않는다. 그 갈망에 힘입어 튤립은 유럽인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네덜란드 증권시장을 정복했으며 차근차근 지구를 점령해 나갔다.20세기 후반 ...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정해 다음에 같은 소리가 발생했을 때 안 들리게 할 수도 있지요. 아무리 시끄러운 길가에 사는 사람이라도 소노를 창문에 붙이면 바람에 나뭇잎이 부대끼는 소리만 들을 수 있을 거예요.층간소음으로 다투는 일이 멈출 날이 올까요? 우리 집에서 쿵쿵 뛰어다니고 큰 소리로 노래를 불러도 ...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모델이 뭔지도 몰랐다고 하니, 새로운 일에 대한 도전이 그를 세계 최고 펀드매니저의 길로 인도한 셈이다.그는 4년간 암호해독관으로 일한 뒤 다시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수학 교수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때 중국 출신 미국 수학자 천성선과 함께 연구하며 1974년 ‘천-사이먼스 이론’을 발표한다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