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쉽게 관측할 수 있다. 행성의 발견이라고 하면 천왕성부터다. 1781년 영국의 허셸이 대형
망원경
을 사용해 천왕성의 모습을 자세히 관측했다. 1846년에는 해왕성이 인간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해왕성은 관측을 통해서 발견했다기보다는 이론적인 연구의 부산물이다. 천왕성의 궤도를 철저히 계산해본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별을 펄서(pulsar)라고 부른다. 그러나 게성운의 펄서는 밝기가 16등급 정도여서 커다란
망원경
으로만 볼 수 있다.초신성이 없었다면 현재의 우리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초신성에서의 핵반응은 원래의 별에 있는 수소와 헬륨을 자연 속에 있는 모든 화학 원소로 바꿔준다. 이것이 폭발과 동시에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노출이 되므로 필름은 감도 ISO 100 정도로 조리개는 F16으로 조여준다.이외의 방법은
망원경
등 장비가 필요하다. 이 방법은 촬영에 대한 책자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한 시야에서 볼 수 있다. 쌍안경 속에서 이들은 희미한 빛 덩어리로 보이는데 작은
망원경
속에서는 각각의 별들이 구별되어 보인다. 각 성단은 명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M36은 셋 중에서 가장 작고 가장 밀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4천1백광년 떨어진 9등급 정도의 희미한 별들이 대략 60개 정도 모여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총질량은 3천t에 이른다고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이중에 지름이 10㎝가 넘는 것은
망원경
이나 레이더로 관측돼 카탈로그화 돼 있다. 이 숫자는 약 7천개. 그런데 문제는 감시되고 있는 덩치 큰 쓰레기보다는 10㎝ 미만의 '미확인 물체.' 정체가 드러난 쓰레기는 이를 피해 인공위성의 궤도를 정하면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4°(겉보기 각도)나 움직였다. 라비노비치는 동료인 스코치에 전화했다. 스코치는
망원경
이 있는 키트피크 천문대까지 1천㎞를 차로 달려 이 천체를 관측했다. 그 결과 5시간에 걸쳐 아홉장의 CCD(전하 결합소자)촬영 사진을 얻었고, 그 천체가 인공위성이 아닌 소행성이라는 사실을 확인됐다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렌즈나 거울의 변형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다. 배율은 무조건 높다고 좋은 것이 아니며,
망원경
에 따라 다르지만 15㎝급이라면 중정도의 배율(1백배 전후)과 2백배 전후의 고배율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좋다.기록은 스케치로 하는데, 준비물로서는 B~4B정도의 연필 몇자루, 지우개, 문질러서 부드러운 ... ...
대규모 탐색 작업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더 큰 효과를 가져온다. 전파
망원경
들이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만이 아니라 소련제
망원경
들을 소련의 이곳저곳에 위치시킴으로써 전파를 수집하는 영역이 보다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물론 외계인을 발견하는 것이 무슨 가치가 있느냐고 질문할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그 외계인들이 이야기하는 ... ...
여성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것을 오빠가 하는 일에 투자했다. 시간이 있을 때면 그녀는 오빠가 만들어 준 조그마한
망원경
으로 하늘을 관찰하곤 했다. 카롤린의 관찰은 훌륭했으며 그녀는 세계 최초의 여성천문학자로 기록되고 있다. 특히 그녀는 혜성들을 열심히 찾았는데 무려 8개나 발견했다.오빠의 사망후 카롤린은 독일로 ... ...
이성주 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경기도 가평에 천체관측소를 만들기도 했다. 5년이 지난 지금 가평관측소는 부대시설(방
망원경
창고 암실)이 잘 갖춰진 훌륭한 천문교육장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성주씨는 그동안 쭉 관측소 관리를 도맡아 해왔다.교사가 돼 아이들을 직접 가르치고부터는 현장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