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담
장벽
장애물
담장
칸막이
제방
d라이브러리
"
벽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동작을 가능케하는 분사추진시스템을 통제한다. 동작이 둔한 조개에 비해 두족류는 얇은
벽
으로 된 모세관과 빠른 산소교환기능이 있는 효율적인 폐쇄 순환계를 가졌다.두족류의 신경계는 몇개의 퓨스식 신경절로부터 만들어진 적은 뇌에 불과해 보기엔 신통치 않다. 그러나 집중적인 진화 덕분에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후두부가 좁기 때문이다. 대개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은 입천장구개 구개수 목구멍
벽
이 정상인보다 두껍다.또 '무턱'이라고 불리는 하악골이 거의 발달하지 않은 사람도 코를 잘 곤다. 혀가 비정상적으로 크거나(혀가 안으로 밀리면서 기도가 좁아진다) 콧속을 가로 지르는 중격이 휘어진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배우 다양하다. 특히 기포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방음에도 단연 효과적이어서 지하철
벽
이나 방송국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마네'라는 말은 일본어로 모방이라는 뜻으로서, 마쓰시다(松下)라는 기업에는 남의 모방을 잘한다는 것을 빗대 '마네시타'란 별명이 붙기도 했다. 마쓰시타는 쌍소켓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국내 스포츠과학자들은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을 거치면서 우리는 여러가지
벽
을 뛰어넘었다"고 말한다, '후진적'인 줄 알았던 우리 연구내용에 선진국에서 조차 관심을 가져주었고, "스포츠과학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선수들 사이에 확산되면서 '내가 왜 그 기계의 실험대상이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이미 언급했듯이 터널링이 생명이다. 즉 탐침의 전자가 에너지
벽
을 힘들여 넘지 않고
벽
을 막바로 터널링함으로써 그 아래에 위치한 원자세계를 탐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탐침과 대상원자가 모두 전자를 가진 전도체여야 한다는 제한이 따른다.이런 ST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 ... ...
신기록 제조의 숨은 코치 스포츠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1백m 마라톤 역도 장대높이뛰기 등 기록경기에서 인간한계의 「
벽
」들이 잇따라 무너지고 있다. 흔히 운동선수의 능력은 80%가 스스로 타고나고 15%는 지도자에 의해 길러지면 나머지 5%가 스포츠과학의 몫이라고 설명된다. 현대 스포츠에서 기록갱신의 행진은 이 「5%」의 도움없이는 불가능하다.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만의 야심작인 초음속 제트기(일명 경국호)의 자체 개발 과정에서 바로 이 음속의
벽
을 제대로 뚫지 못해 시험비행 중 공중 분해됐던 참사가 바로 그 좋은 예이다.최근에는 이러한 음속영역 전후에서의 기체 불안정성과 큰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위 SA(Supercritical Airfoil)라는 날개꼴을 개발,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아주 불편한 방법을 쓰고 있는데, 스타시티에 있는 소유즈 TM 우주선 모델은 귀환선의
벽
을 절단해놓아 쉽게 우주선에 탑승해 각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개조해 놓았다. 무중력 연습우주정거장 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는 것이다. 실제로 각종 연습을 하고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특정한 표적의 위치를 고사포 진지로 바로 보낼 수도 있다. 휘르윈드의 1951년 시범은 완
벽
한 성공이었다. 이를 기초로 미전역의 22개 지역과 캐나다까지 통합된 세이지(SAGE, Semi Automatic Ground Environment) 방공망이 완성되어 1958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그리고 그것은 1983년까지 별 무리없이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다시 말해 시험관아기가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외
벽
에 인공적으로 구멍을 내어 정자를 주입하는 방법이 실험되고 있다.정자냉동법은 혈액을 냉동으로 보존했다가 사용하듯이 정자를 장기간 체외에서 -1백96℃로 냉동보존했다가 필요할 때 녹여서 인공으로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