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때 느꼈던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지만, 우주를 더 보고 싶은 마음에 천문 동아리에 들어갔습니다. 그곳에서 우주 관측에 더 빠져들었고, 김동훈 씨도 만났죠. 우주 관측을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 언제인가요?김동훈. 2008년 몽골로 여행을 가기로 ... ...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전자공학과에 들어가 통신에 흥미를 느꼈으나, 전자기학 전공서에 나오는 수식들을 보고 머리에 쥐가 나 전공을 깔끔하게 포기했노라고. “그럼 수학적 통신이론을 공부하셨어야 했는데. 굉장히 연구가 활발한 분야거든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그는 기자를 포함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있습니다. 수학적으로 그림 그리는 법을 알아 봐요.멋진 광경을 그림으로 남겨보고 싶고 생각한 적이 있나요? 혹은 가족이나 친구들과 보낸 행복한 순간을 사진이나 그림으로 남겨 영원히 간직하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은요? 만약 그런 생각한 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오늘 잘 오셨습니다. 오늘은 실제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보인다. 하지만 수중 음향의 0의 굴절률은 그동안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실험으로만 보고돼왔다. 수중에 있는 물질(산란체)이 물보다 음향의 전달속도가 느려야만 굴절률 제어가 가능하다는 ‘느린 물질 가설’ 때문이었다. 이 가설대로라면 물속에 공기처럼 소리 전달속도가 느린 물질을 배치해 ... ...
- 韓-中 폴더블폰 대전, 승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확대될지가 폴더블폰 성공의 키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보고서를 통해 2019년 폴더블폰의 판매량이 320만 대로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의 0.1%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에는 5010만 대로 3년간 15배 이상 판매량이 늘어나지만, 여전히 전체 스마트폰의 2.5%에 불과한 ... ...
- 스토브리그. 데이터를 보고 선수를 픽해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야구 경기가 없는 겨울에도 빌리 조 단장은 바쁘다. 시즌이 시작되기 전 팀 사정에 맞는 좋은 선수를 영입해 더 나은 팀을 꾸리는 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야구를 한다는 빌리 조 단장이 선수를 영입하는 방식은 어떨지, 그가 보는 선수의 기록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미국 야구팀 오 ... ...
- 인터뷰. 한국 최고의 데이터분석관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기기’ 반입만 안 되니 기기로 만든 결과물은 줘도 되니까요. 이처럼 저는 데이터를 보고 분석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실 경기 전 연습할 때 말고 긴박한 경기 상황에서는 얼마나 참고하는지 모릅니다. 현장의 감이라는 걸 무시하지 못하고, 감독의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지요. 저는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자동으로 번역해 적분 기호가 나타나는 식이다. 만약 애니메이션을 돌린 뒤, 조금 자세히 보고 싶을 때 ‘천천히 보기’라고 입력하면 속도도 늦출 수 있다. 최 교사는 약 2년 간의 작업 끝에, 초, 중, 고 교과과정은 물론 대학교 학부 과정까지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한글화 작업에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축제의 주인공이지만, 주인공이라 좋은진 모르겠어요. 왜 그러냐고요? 수족관 속 고래 보고, 고래고기 즐긴다! 울산은 예로부터 고래잡이가 성행한 지역이었어요. 하지만 전세계에서 고래의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는 상업 포경을 금지했지요. 그러면서 울산도 고래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등의 기준을 만들면서 규칙성을 찾고 대상을 분류하며 주기성을 이해했다. 국기 그려보고, 마인드맵 만들고학생들은 이날 4명씩 한 조를 이뤄 2시간 동안 주기율표를 제작했다. 한정된 시간에 주기율표를 완성하는 건 혼자 힘으로는 쉽지 않다. 강 교사는 “혼자서도 주기율표를 만들 수는 있지만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