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10개의 아미노산이 반복돼 있는 구조다. 이 교수는 이러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부위를 대장균에 넣어 대량생산에 성공했다.이 교수가 개발한 홍합 접착제는 물에 젖을수록 더욱 강력한 접착 능력을 자랑한다. 홍합 접착제는 의학에서 혁명과 같은 변화를 몰고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는 ...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아무튼 이 별자리는 대체로 동양의 저수와 일치하는데, 동방 청룡의 앞발 또는 가슴 부위에 해당한다.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우리와 같은 몽골 인종인 탓에 밤하늘에 대한 정감도 사뭇 비슷한 면이 있다. 그들은 저수를 이루는 별이 원래 삼남매였다고 믿는다. 그 이야기를 한번 들어보도록 하자.옛날 ... ...
- 새로운 현대인 직계조상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비슷한 계통으로 보기에는 다른 특징들이 있다는 것.우선 이 화석은 턱뼈를 비롯한 입 부위가 루시보다 돌출되지 않았고, 광대뼈는 더 강조돼 현대인의 얼굴모양에 더 가깝다고 리키 관장은 말했다. 또한 루시가 가지고 있는 큰 치아보다 훨씬 작은 치아를 가지고 있어, 루시와는 상당히 다른 ... ...
- ③ 생리ㅣ 부작용 없는 치료제 약속하는 인공효소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다. 만약 전이상태의 물질에 대한 항체를 만든다면, 효소의 활성부위와 똑같은 모양을 갖기 때문에 인공효소로 사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전이상태는 매우 불안하고 일시적이다. 이에 대한 항체를 만들기 어렵다는 얘기다. 따라서 기능과 형태가 전이상태와 비슷한 ...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결과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공동연구를 하게 된 계기는 국가별로 암이 발생하는 부위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은 대장암이나 유방암이 많고 브라질은 뇌나 목의 암이 흔한 반면 우리나라는 위암·간암이 주류다. 앞으로 공동연구를 통해 유전자나 환경 등 어떤 요인이 국가별로 전혀 ...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만들 야심찬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암이나 에이즈를 일으키는 유전자의 특정부위만을 잘라내고, 혈액 속의 유전자로 미래에 갖게 될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DNA칩에 필요한 인공제한효소를 제작하려고 한다.사실 그의 꿈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인공효소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탄산가스를 빛을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스위치에 의한 직접 연결과 달리, 소자들을 그룹으로 묶고, 연결 부위에 판단 능력을 주는 논리가 주장되고 있다. 이를 ‘분산된 지능을 가진 메모리 소자’라고 부른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웃하는 나노소자 사이의 전자 터널링이나, 자성작용을 이용한 양자점 세포 연결이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바이러스에 최초로 도입됐다.1970년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헤밀턴 스미스는 자르는 부위를 알 수 있는 제한효소를 발견했다. 최초로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1973년 미국 스탠퍼드대의 생물학자 스탠리 코헨과 캘리보니아대의 생물학자 허버트 보이어는 자연적으로 짝이 될 수 없는 두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얼핏 생각하면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부위의 염기가 전체의 1.1%에 집약돼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1백%가 아닌 99%의 데이터를 학술지에 발표한 것은 성급했다”고 말했다. 어찌보면 ... ...
- 킥보드의 물리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핀이 N극이면, 다른 하나는 S극과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핀과 연결된 철판의 부위는 각각 N극과 S극을 번갈아 띠게 된다. 자기장이 변하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바로 코일에 유도전류가 흐르도록 한다.그런데 이때 생기는 전류는 직류가 아니고 교류다. N극과 S극이 바뀌기 때문에 발생하는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