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지적 독자 위원회] 1기 전지적 독자위원회가 남긴 ‘다채로움’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전독위 1기의 따스한 애정과 열정 덕분에 편집부는 더 풍성한 과월호를 만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함께해 주신 전독위 1기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3월부터는 전독위 2기가 활동을 시작합니다. 앞으로의 6개월도 전독위 2기와 다채로운 과학동아를 만들어갈 것을 과학동아 ... ...
[이달의 뉴스] 태아는 완전한 무균 상태 ‘자궁 무균설’ 재확인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않으면 존재하지도 않는 태아의 미생물을 치료하려는 매우 위험한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며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자궁 무균설을 강력히 지지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 ...
[화보] I숨겨진 지구 이야기I KBS 2023 대기획 히든 어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10억 년 전 대륙이 충돌하면서 솟아오른 습곡 틈새에 계절마다 더운 지방과 추운 지방을 오가는 철새가 알을 낳는다. 백령도 남포리 습곡의 얘기다. 철새는 습곡 지형에 만족해 알을 낳 ... 살펴봤다.*이 기사는 KBS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특집] 인류 염원 담아 쏜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의 ‘한 발’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어니스트 로런스. 사이클로트론 입자가속기에 대한 연구로 193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
상한 미국의 과학자다. 3월, 한국 역사상 최대 연구시설로 꼽히는 중이온가속기 ‘라온’과 연세의료원이 국내 최초로 개설한 의료용 중이온가속기가 시험가동을 진행한다. 두 가속기를 통해 우리는 어떤 소원을 ... ...
[특집] 노벨상의 산실, 가속기의 계보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가속기는 입자를 빠르게 가속해 충돌시키는 장치다. 간단해 보이는 기능이다. 하지만 무시할
수
없다. 지금까지 노벨 물리학상을
수
상한 연구 중 20% 가까 ... 지금 가속기의 세대교체를 앞두고 있다. 우리는 앞으로 가속기를 통해 어떤 꿈을 더 그려 볼
수
있을까. 가속기의 계보를 그려봤다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특히 간암과 췌장암 치료에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간암과 췌장암은
수
술과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 같은 기존의 방식만으로 치료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난치암이다. 두 곳의 갠트리 치료실은 고정형 치료실이 올해 상반기 첫 진료를 시작한 뒤 각각 6개월 간격을 두고 운영을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독립할 나이가 지난 A 가족 장남 아모레가 가족들과 점점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가족들로부터 빨리 떠나라는 재촉이라도 받은 걸까. 밤에는 잠도 ...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
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현 시대의 탄소발자국 대부분은 디지털 탄소발자국일
수
있다는 거지요. 앞으로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더욱 커져갈 겁니다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용어 설명머피의 법칙 1949년 미국의 에드워드 머피가 주장한 법칙으로 “잘못될
수
있는 일은 결국 잘못되기 마련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놀랍지 않게도 머피의 법칙에 관한 연구도 이그노벨상(1996년 물리학상)을 받았다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있습니다. 암흑물질의 가능성들을 탐구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역사 속에서 활동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연구의 큰 매력입니다. § 김성식 중앙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2020년에 같은 대학 물리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했다. 입자 관점에 기반한 암흑물질 이론들과 각 이론들이 암시하는 바를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