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체
몸
체격
육신
체구
골격
인체
d라이브러리
"
신체
"(으)로 총 2,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의하여 효과기(effector)세포로 보내진다. 효과기는 정보의 처리결과에 상응하는
신체
의 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신경계가 일단 손상되면 감각 도는 운동기능의 장애가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방식으로 신경계의 결손기능을 보완하려는 시도를 신경보철이라 이른다 ... ...
PART.2 멀티미디어 첨단 기술에 관심집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훈련 기간이 필요하지만 올해에는 이 문제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이런 기능은 특히
신체
장애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장에서 각광받는 DSP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영역은 아니지만 멀티미디어 활용 분야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재 각종 입력 장치로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수준이지만 이를 방지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한다.특히 '
신체
발부수지부모'라 하여 머리카락 한 올도 소중히 여겼던 우리나라의 정서로는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이를 몇명이라도 복제해낸다는 이야기는 거부감을 일으키기에 충분할 것이다.생명공학은 인류를 '조물주'로 ... ...
다비의 불길 속에서 태어나는 사리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색깔도 황금색 검은색 붉은색 흰색 등이 뒤섞여 영롱한 빛깔을 띤다.사리(舍利)는 본래 '
신체
'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SARIRA'에서 유래했는데, 후에 불타(佛陀), 고승(高僧) 등의 시신을 화장한 뒤 남는 구슬모양의 작은 결정체를 뜻하게 되었다. 이를 다투(駄都)라고도 한다.석가모니는 몸 전체가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백인모집단의 평균보다 15점 적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있었다.교육환경의 개선보다는
신체
적 생물학적 요인의 개선을 주장한 옌슨의 생각은 당시 닉슨대통령의 각의에서 화제가 되었고 세계 생물학자나 심리학자로부터 반대론과 옹호론이 동시에 나왔다. 그 근거의 하나인 버트의 통계에 대해서는 ... ...
신체
이상 알리는 구명구급시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기능에 실로 다양한 기능이 더해지는 것이 최근의 추세. 기압이나 수압을 감지하는 시계, 맥박수나 혈압을 잴 수 있는 시계에서부터 최근에는 바이오리듬이나 몸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에너지소비량을 계산해주는 시계까지 등장하고 있다.이 같은 시계시장에 하나 더 추가된 ... ...
정신분열증은 지각장애, 우울증은 감정기능 불균형서 비롯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영양실조 자살위험 등이 있는 질환이므로 입원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한 자살방지 및
신체
적인 쇠약을 교정해 주는 일을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 만일 치료를 안하면 9개월까지도 증세가 지속되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치료는 입원후 적절한 항우울제를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 ...
생물- 인체라는 에너지 공장 유지하는 자동시스템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15-25℃로 내려갈 때도 있다.
신체
말단부는 환경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신체
중심부의 온도는 거의 일정하고 구강에서 측정하면 37℃로서 일정하다. 흔히 체온을 측정하는 장소로 이용되는 겨드랑이 밑이나, 직장 안은 구강보다 0.6℃정도 높으며 바깥 기온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그 원인을 이해하면 뇌의 메커니즘을 아는 또하나의 단서가 될 것이다.여성과 남성은
신체
적 특징이나 생식기능이 다를 뿐아니라 사물을 지적으로 생각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과거에는 이같은 차이가 성장 과정에서 남녀 각기 경험하는 갖가지 일의 차이의 결과로서 생겨나는 것이며 그 차이는 ... ...
화학- 자연계 모든 물질의 반응물·생성물 평형상태 유지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도달하면 더 이상 생성물의 양이 증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그림 1).자연계나 우리
신체
내의 모든 물질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물질을 생성하고 분해하는 가역반응과 관련돼 있다. 우리가 보기에 항상 일정한 양을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 물질이 화학평형상태에 있기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