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후 중국 정부가 대량의 염소계 소독
약
을 하천에 유출시킨 사건을 인용하며 염소계 소독
약
이 환경에 유입되면 산화 반응을 통해 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변형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화학물질과 반응해 클로라민이나 N-니트로소디메틸아민 등의 발암물질을 생성한다고 보고했다. doi: 10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KISTEP)에 따르면 울프상 수상자가 나오기 시작한 1978년 이후 울프상 수상자의
약
30%는 노벨과학상까지 획득했다.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샤르팡티에 교수와 다우드나 교수도 2020년 1월 의학 부문 울프상을 받았다.한편 과학자들의 피인용률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려는 시도도 있다.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환경탑재체가 실린 건 전 세계 최초다. 상공 3만6000km에서 대기 정보를 담은
약
한 빛을 인식할 장치와 기술이 그동안 없었기 때문이다. 환경탑재체의 영상은 10월 30일 최초로 공개됐다. 그리고 내년부터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탑재체가 제 ...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또는 나이가 들면 장내에 유산균 같은 유익균 비율이 점차 줄어든다. 황광우 중앙대
약
대 교수는 “건강한 사람은 유익균과 유해균의 비율이 8:2 혹은 7:3 정도로 유지되지만, 나이가 들면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빈도가 쌓이며 체내 유해균의 숫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궁금증2나에게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제작하는 러시아 흐루니체프사가 최대 3차례까지만 1단 로켓을 우리나라에 공급하기로 계
약
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담감에 발사일이 다가올수록 연구원들의 긴장은 최고조에 이르렀다.때문에 ‘웃픈(웃기면서도 슬픈)’ 에피소드도 있었다. 발사일을 한 달 가량 앞둔 어느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뉴호라이즌스호는 지금까지 비행한 거리만
약
73억km다. 지구부터 태양까지 거리보다도
약
47배 길다. 지금의 뉴호라이즌스호는 태양계를 두르고 있는 소행성 띠인 카이퍼 벨트를 항해하고 있다. 머지않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우주에 진입할 예정이다.NASA 사람들은 왜 이토록 먼 우주에 탐사선을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있는 외모를 가졌어요. 그 중 이번에 조사된 빗해파리는 ‘Mnemiopsis leidyi’로, 늦여름에
약
1만여 개의 새끼를 낳지요. 과학자들은 새끼들이 성체에 비해 겨울을 나기 어려운데도 늦여름에 새끼를 낳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 했어요. 연구팀은 이런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지난 2008년 8월부터 3개월 동안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2032년에 발사할 계획이에요. 태양 중력렌즈의 초점 위치까지 위성이 도달하는 데는
약
25년이, 그곳에서 외계행성의 사진을 찍는 데 1년 정도 더 걸려요. 2060년에는 외계행성의 사진을 볼 수 있다는 뜻이죠! Q. 2060년이요?! 박사님이 결과를 보실 수 있을까요?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탐사선을 더 빨리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미래의 지구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난제는 역시 ‘기후변화’ 문제일 거예요. 언젠간 반드시 풀어야 할 기후변화 난제는 어떻게 ... 촉매 사이로 잘 들어갈 수 있답니다. 이를 통해 인공광합성 장치의 효율을 1cm2당 0.3A에서 2A로
약
7배 올려 인공광합성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죠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구조인지 한눈에 알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지도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분홍색 지역은
약
35억 년 전에 생긴 지질이에요. 당시 달은 수많은 소행성과 충돌해 표면에 많은 크레이터가 생겼지요. 이처럼 이 지도에는 45억 년 전부터 달이 어떻게 변했는지 담겨있답니다.전 NASA의 우주비행사이자 현 USGS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