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렇다면 용각류는 돌을 우연히 먹었을까요? 아니면 일부러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 ...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해서는 오리무중이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신경질환및뇌졸중연구소(NINDS) 연구진이 건강한 사람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해, 뇌에 생긴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흘려버리는 ‘하수구’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바로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중 가장 ...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에드와르드 미첼 스위스 노이샤텔대 생물학연구소 교수팀은 전 세계에서 수집한 198종의 꿀 샘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는 지 조사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다섯 종류가 가장 널리 쓰인다. 분석 ...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스페인 국립과학연구위원회(CSIC) 산하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IAA)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하우메아는 해왕성 너머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천체로, 국제천문연맹(IAU)은 20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5.7로 발표 했지만, 미국과 중국은 6.3으로, 일본은 6.1로 발표했다. 또 노르웨이 지진연구소는 처음에는 규모를 5.8로 발표했지만 열흘가량 지난 뒤 6.1로 상향 조정했다.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사이의 차이는 0.6으로 숫자만 보면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지진 규모 계산에서 0.6은 실제로 지진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GIST) 고출력광섬유 레이저 혁신기술 개발 사업단은 2012년부터 스위스 베른대 응용물리연구소(IAP)와 함께 광섬유 레이저 연구를 하고 있다. 광섬유 레이저는 일반적인 레이저 발진의 원리를 광섬유라는 구조 안에서 구현하는 기술이다. 광섬유에서 빛이 흐르는 중심 부분에 에르븀(Er), 이터븀(Yb) 같은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또는 뇌-컴퓨터 접속(BCI·Brain-Computer Interface)이라고 불리며 실제로 전 세계 많은 뇌공학 연구소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물론 영화에 등장하는 수준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우선 ‘뇌의 언어’를 이해해야만 한다. 지난 100여 년의 신경과학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후 많은 모델이 제안됐는데, 중성자 별의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런데 이를 진지하게 분석한 과학자가 있다. 파르딘 마크-앙투안 프랑스 리옹대 물리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이 논문으로 2017 이그노벨상 물리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수학 공식을 이용해 어린 고양이가 늙은 고양이보다 모양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Rheology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표준기관인 연방물리기술연구소(PTB)는 XRCD 방법으로, 미국의 표준기관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캐나다의 표준기관인 국립연구위원회(NRC)는 키블 저울로 측정했다. 9월 5~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단위자문위원회(CCU)에서는 이 같은 측정 결과가 단위를 재정의하기에 충분한지 논의가 이뤄졌다.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