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드론의 장애물 회피 기술 나방에게 배운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미치지는 못했지만 기존 알고리듬보다는 회피율이 좋았습니다.연구를 진행한 흥위 저 연구원은 “곤충이나 동물의 비행 방법을 활용하면 드론뿐 아니라 여러 자율 주행 기기의 알고리듬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PLOS 전산생물학’ 1월 9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수학으로 다시 쓰는 고고학, 아라가야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재구성 하라 도움 민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조사부 팀장), 조명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조사부 과장), 강동석(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 김장석(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김범철(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참고자료 강동석 ‘아라가야 國의 공간구조’,이지웅 외 2명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데 성공했다. 발사 전 점검에 또 점검이렇게 완성된 천리안 2B호는 1월 5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시험동을 떠나 러시아 운송기를 타고 캐나다를 거쳐 1월 6일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 도착했다. 운송과정 중에도 연구팀이 해야 할 일은 산더미다. 운송 중에, 그리고 경유지를 비롯한 각 주요 지점에 ... ...
- [과학뉴스] 파리 화석도 강남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약 1억 1000년 전 백악기시대에 산 것으로 추정되는 파리 화석을 발견했어요. 크라모프 연구원이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강남스타일에서 이름 따자고 제안했고, 이 화석엔 ‘Buccinatormyia gangnami (부치나토르미이야 강남아이)’란 이름이 붙었답니다 ... ...
- [영구동토 장례식] R.I.P. 얼음, 이곳에 잠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안녕하세요. 바쁘신 중에도 이렇게 영구동토 장례식에 와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늘 우리의 발 아래, 추운 극지방의 땅속에 머물고 있었지만 ... 협력센터장), 정수종(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김민철(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연구원), 아모스 카펠(자유유럽방송 사진 기자 ... ...
- 영구동토, 수십년 째 '핫'해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네트워크’를 만들어 1000여 곳의 영구동토층을 조사한 자료를 활용했지요. 비스카본 연구원팀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변화를 계산했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전세계 영구동토층이 평균 0.29°C 따뜻해졌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온도가 크게 높아진 곳은 1°C 가까이 올라가기도 했죠. 이런 변화는 ... ...
- 영구동토 속에 좀비 생명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있다가 다시 살아나기도 하거든요. 2018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아나스타샤 샤틸로비치 연구원은 러시아 알라제야강 근처의 영구동토층에서 3만~4만 년 전에 살던 선충을 살려냈어요. 연구팀은 수십m 아래의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300개의 시료를 연구실에서 녹여 영양분을 공급했어요. 그러자 그중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관측하고 해양 재난도 신속히 모니터링합니다. 천리안 2B호를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주역들을 만났습니다. 특별부록 브로마이드에서도 천리안 2B호를 확인하세요!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 ☞ 바로가기 (44p) 소고기에서 오랫동안 품질을 평가하는 최우선 기준은 ... ...
-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우주에서 한반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 떠오른다. 2월 19일(한국시간)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는 적도 상공 약 3만6000km 고도에 올라가 한반도를 내려다보며 한반도 주변의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해도, 대형 산불이 나면 지금은 속수무책으로 비가 오기만 기다릴 수밖에 없다. 윤 책임연구원은 “다소 엉뚱해 보이더라도 ‘날씨를 조절하는 과학 기술이 있을까’ 상상해 보라”며 “지금은 허황돼 보이는 상상이 미래에는 실현돼 앞선 기술이 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분의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