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d라이브러리
"
영역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않고 맴돌면서 다시 자기 자리를 찾아 돌아온다. 수컷은 짝짓기를 하기 위해 자기
영역
을 두고 텃새를 부린다. 다른 수컷이 다가오면 쫓아버리는 습성이 있다.짝짓기는 다른 잠자리들과 같다. 흔히 꼬리라고 생각하는 수컷의 배 끝에는 집게가 달려 있어서 암컷을 만나면 이 집게로 암컷의 목덜미를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기술에 비해 뛰어나다디지털 방식 녹음으로 고음질 서라운드 음향을 실현했다 낮은
영역
의 효과음을 포함하는 51채널의 음성을 채널별로 따로 기록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보조 음향인 서라운드 채널도 스테레오며,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범위인 20-2만Hz의 사운드를 폭넓게 들을 수 있다가장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박막을 무선통신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일반 전화보다 100배 높은 주파수
영역
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입자수를 100배 늘릴 수 있고 직진성이 좋아 신호처리 속도가 100배 이상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인체의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해 심장마비 여부를 즉시 알아낼 수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발생학적으로 요도 양측의 측엽, 뒷쪽의 후엽, 앞쪽의 전엽, 그리고 중엽을 합쳐 모두 5개
영역
으로 구성된다 전립선액은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에게 영양을 공급해 정자의 운동성을 높여 주는 한편, 정액의 주요 성분이기 때문에 남자의 생식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립선 질환으로 전립선염,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확 후 관리연구소’를 설립해 세계시장 개척에 성공했다.분자유전학과 유전체학의
영역
을 넘나들며 국제협력 연구사업을 이끈 이스라엘의 과학자들은 결국 고당도 토마토 육성하는데 성공해 역사가 깊은 네덜란드의 종자회사를 휘청거리게 만들었다.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다른 분야의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때가 되면 바닷물로 떨어져 바다 밑의 땅에 뿌리를 내리게 되지요. 그러면서 점점
영역
을 늘려 가는데 저희 때문에 열대 지방의 해안선이 매년 바뀔 정도라니까요. 사실 새끼를 낳는 게 아니라 번식의 한 방법인데 사람들 눈에는 마치 새끼를 낳는것처럼 보이나 보죠? 호호.나무 자신을 보호하려는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보다 작지만 국부적으로 1을 초과하는 속도를 가진 경우를 천(遷)음속, 1보다 작은 속도
영역
을 아(亞)음속이라 한다 기호 M은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마하(EMach)에서 연유된 것이다배기가스 속의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이 자외선을 받아 광화학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발생한 대량의 과산화물질 이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소리를 낸다고 하자. 우선 뇌에서 언어 기능을 관장하는 ‘브로카
영역
’과 ‘베르니케
영역
’에서 ‘아’ 소리를 내라고 명령을 내린다. 뇌의 명령을 받은 폐는 폐 안의 공기를 기도로 올려 보낸다. 이때 성대에 있는 30여개의 근육은 강도를 조절해 성대를 알맞게 닫는다. 이 압력으로 성대가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 대응을 이룬다고 여긴 고대인의 사고방식이다. 땅 위의 어떤 나라에 대응하는 하늘의
영역
이 있어서 하늘에 어떤 조짐이 나타나면 대응된 그 나라에 무슨 일이 생긴다는 생각이다.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천문도를 비롯한 몇 가지 정보가 들어있다. 가운데 커다란 동그라미 안에는 1467개의 별과 28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면서 예전에는 생명 현상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영역
이 생물학에 포함됐다. 이로써 건축가들이 적용할 수 있는 생명체 모델이 늘어났다.바이오모픽 건축의 문을 연 인물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프레데릭 키슬러(Frederik Kiesler)였다. 그는 1950년 ‘엔드리스 하우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