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원
이상향
유토피아
무릉도원
이상국
도원경
이상
뉴스
"
이상세계
"(으)로 총 6,95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만 해도 3일이면 끝날 줄 알았는데, 우크라이나가 한 달 넘도록 버티고 있다. 사실상 러시아를 영구 집권하고 있는 푸틴의 광기에 경악한 사람들이 미국의 망명 제안을 뿌리친 젤렌스키 대통령과 함께 결사항전하고 있는 우크 ... ...
"기온 1.5도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 43% 감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지난 11월 13일 세계 약 200개국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막을 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석탄발전 단계적 감축 등을 포함해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대책인 '글래스고 기후 조약'에 합의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공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지구 대기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 ...
모여서 회의하는 고양이들
팝뉴스
l
2022.04.04
팝뉴스 제공 고양이들이 이상한 일을 하고 있다. 여러 마리가 모여서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보인다. 고양이의 동네 회의 또는 반상회 장면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고양이가 플라스틱 의자에 올라 앉아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게 신기하다. 그런데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을 가장 많이 끈 ... ...
'스텔스'보다 전파력 10%강한 오미크론XE 확산…방역당국 "방역전략 전환할 정도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인 BA.1과 BA.2, 일명 '스텔스오미크론'이 섞인 새 변이 XE가 해외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XE 변이는 BA.2 변이보다도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19일 영국에서 처음 발견됐고 두 달여만에 이스라엘과 대만, 태국에서도 발견됐다. 국내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 ... ...
거리두기 지켜가며 코로나 대유행 이겨낸 한국인들 얻은 건 겨우 '이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국내 연구팀이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를 활용해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한국인이 겪는 우울감과 죄책감이 커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늘어나거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강도가 세질수록 이런 경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 4년과 유행하는 1년 ... ...
2년간 ‘롱코비드’ 겪는 사람들도 있다…원인은 '윤곽' 치료방법은 '안갯속'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과학자들은 주목하는 롱코비드 증상의 원인은 혈전 및 작은 혈관 손상(미세 혈전), 면역체계의 교란, 코로나19 감염 지속, 신진 대사 장애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팬데믹에서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감염후 장기 후유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텔로미어 투 텔로미어(T2T)’ 컨소시엄 과학자들이 DNA 염기쌍 30억쌍을 완벽히 해독한 인간 유전체 정보를 공개했다. 빨간색 영역은 T2T컨소시엄이 해결한 이전에 누락된 시퀀스를 나타낸다. 사이언스/자료 T2T컨소시엄 제공 2003년 처음 발표된 인간 유전체(게놈)의 완전한 염기서열은 실제로는 공 ... ...
오미크론·스텔스오미크론 혼합 변이 'XE' 대만서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제공.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제공. 대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계통 중 기존 오미크론 변이로 알려진 BA.1과 하위계통 중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알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판단하지 말아야
2022.04.02
우리는 감정에 수동적으로 반응하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적극적인 해석을 통해 감정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존재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등학생 때 집안 사정으로 많이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다. 어느 날 야간 자율학습 시간에 교실을 빠져나와 조용한 학교를 혼자 돌아다녔다. 정처없이 ... ...
[프리미엄 리포트] 산불이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2022.04.02
동해안 산불이 남긴 상처. 강원 동해시 일원의 산림 곳곳이 검게 그을려 있다. 산불 피해를 입은 숲 생태계는 탄소흡수원 기능을 회복하는 데 오랜시간이 필요하다. 연합뉴스 제공 인류에게 있어서 불은 신이 내려준 선물이었다. 불이 있기에 사람들은 자연의 위협을 극복하고 문명을 세울 수 있었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