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2,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사용하긴 어렵다”면서도 “적어도 진핵세포 유전체 합성의 시발점이 된 것으로 향후 ‘인간 유전체합성 프로젝트’ 등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가 2010년 합성한 최초의 인공생명체 ‘JCVI-syn1.0’(왼쪽). 최근에는 여기서 게놈(유전체) 양을 더 줄여 생명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직급 여성이 자신에게 성적인 매력을 느낄 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고, 여성을 동등한 인간으로 보기보다 성적 존재로 대상화 하며, 자기와 섹스를 하도록 힘을 이용할 의사도 높다는 연구도 있었다고 한다(Kunstman & Maner, 2011). 좋은 학교만 가면, 좋은 직장만 얻으면 여자가 자연스럽게 '보상물'로서 ... ...
- [카드뉴스] 인간과 기계 연결하는 미래 기술의 향연 - 마이너리티 리포트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IBS 제공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서 유전체를 연구하면 건강을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처럼,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는 미생물을 이해하면 우리 건강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시작됐다"며 "과거에는 질환 발병 요인 중 유전적 요인을 50~60%로 추정했지만, 요즘은 비유전적(환경적)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2017.03.07
- 뒤꿈치여!(Ireland, that vulnerable heel of the British Achilles!). - 사무엘 콜리지 신화를 보면 인간의 운명은 미리 안다고 해서 피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비극적인 테마를 지닌 이야기가 많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아킬레우스 이야기다. 바다의 여신 테티스는 사람(프티아의 펠레우스 왕)과 결혼해 낳은 아들이 ...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2017.02.26
- 굳이 ‘회식’, ‘술 먹고 망가지는 사적인 모습 노출’, ‘너도 결국 그렇고 그런 인간일뿐’ 등을 강요하는 것 또한 관계에 불필요한 감정을 개입시켜 이성적인 판단과 신념의 작동을 막는 장치인 것 같다는 느낌을 받곤 했다. 일례로 신고식 같은 ‘고통스러운 통과의례’가 조직에 대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바다에 사는 종자식물인 ‘해초’가 등장했다. 해초가 세균을 죽이는 물질을 내뿜어 인간과 해양생물에게 해를 끼치는 병원균을 최대 50%까지 줄여준다는 사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미국 코넬대 생태진화생물학과의 졸리 램(Joleah B. Lamb) 연구원팀은 인도네시아 스퍼몬드(Spermonde) 지역을 조사해 이 ...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화석을 통해 물고기, 그리고 다양한 생물종을 거쳐 최종적으로 포유류와 우리 인간으로 진화한 과정의 초기 단계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틈에 갇혀 제대로 증발이 안 돼 체온 조절에 별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인간이 단열이 잘 되는 털외투를 계속 착용했다면 진화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며 “약 100만~300만 년 전 영장류(인류의 조상)의 뇌가 커지기 시작할 때 털이 빠지고 외분비샘(땀샘)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털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시스템을 바탕으로 적은 에너지로도 고도의 병렬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인간의 뇌 속에서 정보를 전달하고 기억을 저장하는 시냅스(왼쪽)와 IBS 연구진이 개발한 2전극 메모리 소자(오른쪽 하단). - IBS 제공 IBS 연구진은 기존 3개의 전극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구조에서 저장 전극을 없애고,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