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10
- [*주의 : 기사에 영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다소 비위가 상할 수 있는 내용이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File 10 모리구치 유코는 홀몸으로 어린 딸을 키우는 중학교 선생님이다. 그는 어느 날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의 수영장에서 죽어있는 딸을 발견한다. 경찰은 사고사로 결론짓지만 유코는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
- 그 유전자를 찾는 최적의 프라이머를 검색해서 보여주는 일종의 검색엔진이다. 구글처럼 조건에 맞는 프라이머를 가장 정확한 것부터 순서대로 제시해 준다. 특히 목표가 아닌 유전자에 달라붙지 않는, 유효한 프라이머들만 검색 결과로 보여주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실제로 프라이머를 만들어서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10
- 코드를 봐도 문제가 없는데 버그가 나와서 수정하느라 고생했습니다. [진로를 네이버, 구글, 카카오와 같은 IT 전문기업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컴퓨터공학 전공생들의 진로는 무궁무진합니다. 저만 해도 삼성전자에서 반도체를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 과정의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어떻게 열차가 이렇게 빨라질 수 있었던 걸까?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도 초고속열차를 개발했다고?더 빠른 열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필요해요. 그 중 가장 중요한 세 가지를 꼽는다면 엔진의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추진 성능’과 멈추는 힘인 ‘제동성능’, 그리고 공기저항을 이길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비행기보다 훨씬 빠른 열차도 개발 중이라고? 무려 시속 1200km라고? 믿을 수가 없는 걸? 최근 미국에서는 비행기보다 약 1.5배 빠른 시속 1200km로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인 ‘하이퍼루프(Hyperloop)’를 개발하고 있어요. 진공에 가까운 튜브 속을 달리기 때문에 공기저항이 적고, 자기부상열차처럼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과학자들은 왜 과학을 연구할까요? 많은 과학자들이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연구를 할 거예요.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연구실은 좀 더 특별한 것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었어요. 바로, ‘즐거움’을 연구하는 사람들이었답니다. 즐거운 사람들이 모인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에서 경험한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艹, (=艸))’와, 불기운이 위로 오른다는 뜻을 갖고 있는 ‘김 오를 증(烝)’으로 이루어진 글자예요. ‘풀에 뜨거운 김을 쐬다’라는 뜻이 ‘찌다’라는 뜻이 된 거지요.‘필 발(發)’은 걸어간다는 뜻의 ‘필발머리(癶)’ 부수와 ‘활 궁(弓)’, ‘몽둥이 수(殳)’를 합해 만든 한자예요. ‘걸어가서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10
- 정이십면체를 비스듬히 자르면 어떤 모양일까요? 수학 시간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머릿속으로 상상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상을 잘하는 사람이 수학 실력도 뛰어날까요?미국 에모리대 심리학자 스텔라 로렌코 연구팀은 돌 전후 아기의 공간 추론 능력으로 4살 어린이의 수학 ... ...
- INTRO. 수학자가 사는 법수학동아 l201610
- 사람, 시원한 바다 바람을 맞으며 수다를 떠는 사람, 음료수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SNS에 글을 쓰는 사람. 누가 봐도 각자 휴가를 즐기는 것 같지만, 사실 이들은 함께 수학 문제를 푸는 중이다.흔히 수학은 혼자 하는 학문이라고 알고 있다.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여럿이 함께 문제를 푼 적은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