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직접 갯벌생물 조사를 하고 있다. 10분만 교육 받으면 누구나 생태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
바다
생태계를 보전하는 데 지역 주민의 참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선진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7월 12일부터 16일, 일본 규슈 지역의 갯벌생태마을을 둘러봤다. 일본 야생동물보호기금(WWF JAPAN)과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달이 달라붙은 부분이 달 뒷면에 있는 높은 산지에 해당한다. 그리고 밀려난 달 마그마
바다
의 물질은 KREEP인데, 현재 달 앞면에 주로 있다. 이 가설에 의하면 달 뒷면에서 발견되는 물질은 트로이 달에서 왔기 때문에 원래 달보다 오래됐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달 뒷면에서 채취한 월석은 없다 ... ...
해양관측
바다
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과 비슷해요. 배와 비행기의 크기가 비슷할 뿐 아니라, 국내선 비행기가 나는 고도와
바다
표면에서 심해저 자원이 있는 곳의 수심이 거의 비슷한 높이거든요.게다가
바다
에는 해류와 수압이 있고 캄캄해서 눈으로 보이지도 않으니, 해저자원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짐작이 가죠?하지만
바다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장치 등으로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재활용품과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한 결과 산과
바다
가 푸르고 깨끗하게 된 모습이 바닥에 그려졌다. 학생들의 생각은 세밀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작품 속에 나타난 친환경도시 울산의 꿈은 하루하루 앞당겨지고 있다. 미니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분열을 할 수 있다. 이는 한 개체가 사흘 뒤에는 8~16 개체로 늘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바다
에서 적조가 일어나는 것도 이처럼 식물플랑크톤이 빠르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미세조류를 하찮게 여기지 말자. 이렇게 작은 미세조류가 하는 일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
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류쿠대의 아열대연구소들의 명칭을 ‘열대연구소’로 바꾸고 일찌감치 열대
바다
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아열대수산연구센터 장대수 소장은 “기후변화를 극적인 위기로 겁낼 것이 아니라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특히 제주도는 아열대화의 최전선에 있기 때문에 많은 변화가 일어날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간단한 정수 처리를 거친 뒤 관을 통해 지하수 불포화대에 주입하는 것이다. 지하수는
바다
로 흘러들어가는 데 1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자원이 된다.김용철 박사는 “지하수 인공함양기술을 통해 2만여 명이 1년 동안 이용 가능한 청정 지하수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나타나고 있다. 육지에서도 구하기 힘든 희귀원소 리튬이
바다
속에서 무한정 나오는
바다
위 리튬 공장. 자원보유국의 횡포에 맞서 우리 산업을 지키는 첨병이다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풍부한 수량도 지진해일을 키웠다.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수심이 1km 이상인 깊은
바다
에서 일어난다. 이호준 삼성생명 부설 삼성방재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이번에 발생한 지진의 진원이 두 판이 서로 수렴하는 해구의 경사면이어서 지진해일을 일으킬 만큼 수심이 충분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해양연 열대해양체험 이벤트 합격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보성고1) 학생은 직접
바다
에 뛰어 들어 연구할 정도로 큰 열정을 보였습니다. 그는 국내
바다
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는 갯녹음 현상을 연구했습니다. 연구 결과 이 현상이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관련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홍근혁(경기 수일중2) 학생은 “갯벌의 중요성을 알고 싶어 갯벌에 사는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