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되풀이
중복
순환
거듭
회귀
재발
2중화
d라이브러리
"
반복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박보석 교수가 바로 그다. 프랙탈 아트계에서 인기 작가로 잘 알려진 박 교수는 무한히
반복
되는 프랙탈의 매력에 푹 빠졌다고 한다. 프랙탈이 주목받지 못하던 1990년대 초, 프랙탈에 대한 박 교수의 열정은 아무도 막을 수 없었다.프랙탈을 그릴 수 있는 프로그램 설명서를 구하기 위해 일본으로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실 이동하는 시간보다 이 시간이 더 걸리지. 예를 들면 1시간 동안 가다 서다를 200번
반복
하면서 시속 60km로 달리는 것보다 꾸준하게 시속 30km로 달리는 게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해. 출발할 때 시속 60km까지 가속하는 데 6초, 멈추는 데 6초가 걸린다고 생각하면 시속 60km를 제대로 낼 수 있는 시간은 1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1 사이의 실수로 만들어진 집합이다. 칸토어 집합을 만들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 과정을
반복
해야 한다. 공간과 차원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다른 수학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해 다른 학문에도 큰 영향을 미쳤어. 프랙탈 차원의 정의 덕분에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은 물론 과학 분야와 의학 분야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공책에 붙이는 시간이 따로 있다. 수업시간이 50분이지만 풀 붙이기나 문제 풀이를
반복
해서 하기 때문에 실제로 배우는 내용은 우리나라보다 적다.✚영국의 교육 프로그램영국은 만 5세에 초등학교 1학년을 시작한다. 만 7세에 입학하는 우리나라보다 2년이 빠른 셈이다. 초등과정 6년을 마치면 1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닦는 세제를 이용해 구석구석 몸을 닦아 준다.➌ 몸 상태에 따라 위 과정을 며칠이고
반복
한다. 먹이도 먹여 체력을 회복시킨다. 몸집이 큰 가마우지(위)는 한 번 식사 때마다 미꾸라지를 15마리 넘게 먹는 먹보다.➍ 계속 추적 연구를 하려면 다리나 날개에 번호표를 붙인다.➎ 건강 충분히 회복되면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그것은 1917년에 발표한 가스통 쥘리아의 논문이었다. 복소평면 위에서 끊임없이
반복
되는 구조인 쥘리아 집합에 관한 문제였다. 하지만 만델브로가 논문을 처음 봤을 당시에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삼촌에게 큰 실망을 안겼다.하지만 30년 뒤, 그는 컴퓨터를 이용해 마침내 ‘쥘리아 집합’의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제대로 결합한 구조만을 분리해 낸 뒤 그 다음 반응으로 넘어간다. 이런 일이 수십 회
반복
되면서 항암제인 탁솔 같은 복잡한 유기분자가 만들어지는 것이다.망치와 삽, 톱 같은 도구의 발명이 집짓기를 훨씬 쉽게 했듯이 원하는 분자구조를 쉽게 만들어주는 화학반응법의 개발은 다양하고 복잡한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여성 천식 환자 25명과 보통 젊은 여성 15명이 참가했는데, 실험을 위해 롤러코스터를
반복
해서 몇 번이나 타야 했다. 롤러코스터를 탄 뒤에 즐거워진 천식 환자들은 “호흡이 좀 편안해졌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그들의 폐 기능은 롤러코스터를 타기 전보다 훨씬 더 나빠져 있었다. 연구팀은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덩어리인 흑연을 셀로판 테이프에 붙인 뒤 다른 셀로판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내기를
반복
해 단원자의 탄소막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분리해 낸 그래핀을 실리콘 박막 위에 붙인 뒤 그 성질을 측정해 그 내용을 2004년 10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당시 그래핀을 얻기 위해 연구 중이던 다른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행성의 중력에 의해 별이 움직이면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는 가까워졌다 멀어지기를
반복
한다. 원래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별이지만 거리가 바뀌면 지구에서는 빛이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생겨 밝기가 변하는 주기가 일정하지 않게 보인다. 이 시간의 차이를 관측하면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