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DAY2 따사로운 적도에 들어설 꿈의 우주공항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로켓플레인’(Rocketplane)이 새로운 주인이다. 로켓플레인은 현재 호주의 우메라 로켓
발
사 기지도 업그레이드하고 있어 이르면 2008년부터 이곳을 우주공항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텍사스에도 두 곳의 우주공항 건설 계획이 무르익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아마존닷컴의 설립자 제프 베조스가 세운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지적했다. 무중력상태에서 임신한 쥐와 태아를 관찰한 결과 13~17%의 태아가 정상적인
발
육을 하지 못했고, 신경체계와 면역체계도 심각한 문제를 나타냈다.한서대 항공학부 이원근(항공의학 전공) 교수는“우주공간에서 태어난 쥐는 지상에서 태어난 쥐에게는 없는 새로운 근섬유를 갖는다”면서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바늘 · 각기둥 · 평판 등의 모양을 한 미세한 얼음이다 영하 10℃ 이하의 저온에서
발
생하며 구름에서 낙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구름이 없는 하늘에서 낙하하는 수도 있다 개기일식이 끝나고 광구(光球)의 일부분이 달 주변에서 벗어나는 순간 밝은 광구가 채층(彩層)과 내부 코로나의 둥근 테에서 ... ...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골대 앞까지 공을 몰아 왔습니다. 순식간에 슛! 긴팔원숭이 골키퍼가 골대에 매달려
발
로 공을 잡아 냅니다!아니 그런데 공이 꿈틀 거리네요. 이런! 팀가이스트로 위장한 아르마딜로였군요.2:0으로 우리 선수들 마음이 약간 헤이해진 걸까요? 또 다시 위기입니다. 상대방 선수 무섭게 공을 ... ...
아는 만큼 받는다! 이공계 장학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위한 다양한 사업을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할 예정 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과학
발
전과 경제 성장은 흐름을 같이 하는데, 우수한 인재가 의대나 법대에만 몰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꿈과 비전을 향해 커다란 공을 쏘아 올리는 학생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 돼줄 이공계 ... ...
태권V 가볍고 튼튼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않는다. ‘가장 튼튼한 재료’를 뜻하는 은유적인 표현일 수도 있다. 신소재 기술이
발
달하면서 그 무쇠는 강철이 될 수도 있고 나노복합재료가 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의 무엇이 될 수도 있다.엄청난 무게를 견뎌야 하는 문제는 물론 표면 부식, 외부 레이더로부터 엄폐 등 외장 소재부터 조종실의 ... ...
어과동과 함께하는 월드컵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뒤로 빼는 차이가 있다. 네덜란드의 전설적인 스타 요한 크루이프(위 사진)가 처음 개
발
해‘크루이프턴’이라고 부르게 됐다.마르세유룰렛공격수가 드리블을 하다가 수비수를 제치는 기술. 공을 중심에 두고 몸을 360도 회전시킨다. 프랑스의 지네딘 지단이 자주 사용하는 기술. 월드컵에 참여하는 3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초음파의 속도에 온도가 미치는 영향(화학)을 알아내며 말라리아모기가 냄새나는
발
과 벨기에산의 연한 림버거 치즈에 똑같이 끌린다(생물)는 점을 증명한 업적에 올해 이그 노벨상이 돌아갔다.“과학에서 가장 흥분시키는 어구는 ‘알았다(Eureka)!’가 아니라 ‘그것 참 재밌네!’다”라고 하던 ... ...
6층 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야 안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최종속도가 줄어든다. 그리고 땅에 가까이 오면 착지할 준비를 하고 땅에 안전하게
발
을 디딘다.스카이다이버들이 서로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내려올 때 팔과 다리를 쭉 편 자세로 있는 것도 같은 이유다. 다른 사람의 손을 잡아야하는데 상대방이 빨리 내려오고 있으면 손을 잡기가 어렵다. 따라서 ... ...
탐사선'스마트1', 달에 충돌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등에서 지상을 촬영한 공중사진을 이용하는 사진측량 제2차 세계대전 후 급속하게
발
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에서 밑으로 향하는 대기중의 전기장 공중 전기장이 있기 때문에 공지전류(空地電流)가 생기게 된다 공중전기장의 크기는 기후에 좌우되며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