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역사학
역사
d라이브러리
"
역사과학
"(으)로 총 3,177건 검색되었습니다.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나는 네가 한 살 때 한 일을 알고 있다?’ 미국 암허스트 소재 매사추세츠대 천문학과 윤민수 교수의 ‘특기’다. 다만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우주일 뿐. 인간의 평균 수명을 70세로 보면 우주의 나이가 현재 137억년이니까 빅뱅 후 1억년 쯤 지난 우주는 한 살 된 갓난아기인 셈이다.정작 당사자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65) 고문은 ‘못 말리는’ 수학 예찬론자다. 올해 4월 소장직을 물러남으로써 27년의 연구소 ‘현역 활동’을 마쳤지만 아직까지 박사급 연구원들에게 틈만 나면 ‘수학공부 더 하라’고 잔소리를 한다.“원자력이란 과학 분야를 탐구하려면 수학이 필수입니다. 원자의 핵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장보고의 잠재력을 깨우기 위해 신라로 간 해치와 시아. 하지만 그들을 방해하기 위해 나타난 ‘세눈마신’에 의해 곤경에 처하는데…. 세눈마신에게 쫓겨 바다 깊숙한 곳까지 도망친 장보고 일행. 숨은 점점 가빠 오고 컴컴한 바닷 속은 무섭기만 하다. ‘조금만 있으면 세눈마신이 우리를 찾을 텐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업들이 저마다 이익을 내기 위해 경쟁하면서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기술을 선사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유익한 기술의 발전을 가로막기도 한다. 형광등 기술이 이런 예를 잘 보여준다.1938년 4월 12일 제너럴 일렉트릭(GE)과 웨스팅하우스는 ‘마즈다’(Mazda)라는 공동 상표의 형광등을 최초로 시장에 ... ...
최고 기록 극한의 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익스트림은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가지 묘기를 펼치는 익스트림 스포츠를 통해 많이 알려져 있다. 신세대들이 즐겨 X게임, 위험 또는 극한스포츠라고도 한다. 익스트림 스포츠가 인간이 스스로 한계에 도전하는 것이라면 이번에 소개하는 익스트림 사이언스는 자연과 과학의 한계가 어디까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오늘밤 머리를 들어 북쪽하늘을 바라보자. 가운데에 북극성이 있고 그 옆에 W 모양으로 생긴 별자리가 있을 것이다. 유명한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따르면 자신의 미모를 뽐내는 바람에 벌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조선 사람들은 그 별자리를 뭐라고 불렀을까. 바로 ‘닻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주인을 알아보고 대화할 수 있는 로봇이 곧 일본 가정에 등장해 노인들을 보살필 예정이다.‘와카마루’라는 이름의 이 로봇은 집을 지키고 장애인이나 노인을 돌보고, 비서 역할을 하며, 집을 안전하게 지킨다.이 로봇은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했다.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엔진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찰나가 얼마나 짧은 시간인지 실감할 수는 없지만, 찰나와 같은 시간은 우주가 탄생하면서 시작됐다. 또 우주 탄생 직후 찰나보다 짧은 시간에 우주가 ${10}^{30}$배나 커지는 엄청난 일이 벌어졌다. 찰나에 벌어지는 우주의 신비를 벗겨보자.아우구스티누스 가라사대현재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우주는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빌 게이츠는 6년전 “생각의 속도로 움직이라”고 주문했다. 감탄하기 전에 잠깐. 생각의 속도는 얼마나 빠를까. 생각은 뇌가 하고, 뇌는 신경세포로 이뤄져 있다. 신경의 속도는 초속 30m. 100m를 3~4초만에 뛰는 셈이다. 생명체는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한 찰나의 순간 속에 살고 있다.연세대 화학과 김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무한히 넓은 우주공간에 우리만이 유일한 생명체일까? 밤하늘에 무수히 떠있는 별들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져봤을 질문이다. 어떤 철학자는 말한다. 광활한 우주가 우리만의 것이라면 너무도 심한 공간의 낭비라고. 우리 태양계만 하더라도 지구를 포함해 9개 행성이 존재한다. 우주에 있는 별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