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요인
까닭
근거
동기
이유
기원
d라이브러리
"
원인
"(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암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폐암 가운데 EGFR이란 성장인자수용체의 돌연변이가
원인
인 경우는이레사가 잘 듣는다”며 “따라서 암세포의 EGFR 유전자를 검사한 뒤 이레사 투여여부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10년 뒤에는 이레사처럼 특화된 항암제가 많이 쓰일 것이다.김 소장은 국내 최초로 개인게놈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속도로 달리는 멸종의 시계를 멈출 긴급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행히 인간은 멸종의
원인
이기도 하지만 파수꾼이기도 하다. 멸종을 막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적색목록집’부터 생물 종 복원까지, 과학동아가 선정한 5가지 주요 대책을 살펴보자.1. 생명 살리는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주장을 뒤집는 내용이다. 만약 정 교수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수중 폭발은 없었고 침몰의
원인
도 어뢰가 아니게 된다.그런데 똑같은 현상을 두고 상반된 주장이 나오니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과학이라면 동일한 결론이 나와야 하는데,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셰리 시세일러의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상에 해당하는 내용을 분류하고, 나머지 내용 중에
원인
이 될 만한 가능성을 검토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때 인과관계의 논리는 상당히 중요하므로 오류나 비약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개별 과목의 소재 간 통합은 자연계 논술의 핵심이다. 실제로 이 평가 ... ...
지진 측정 오차
원인
, 벤포드 법칙으로 밝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한 곳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여러 관측소에서 이 결과를 기록합니다. 그런데 관측소마 다 측정값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 수학 법칙으로 밝혀졌습니다. 최근 호주국립대의 말콤 샘브리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로 다른 두 지역에서 측정한 지진 값이 벤포드 법칙을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멈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추워서 죽는’ 경우는 대부분 심장의 기능 이상이 직접적인
원인
이다. 체온이 27℃ 이하에서는 혼수상태로 빠지고, 26℃ 이하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살아 있기 어렵다.이런 저체온증이 꼭 험난한 오지나 사고현장에서만 일어나지는 않는다. 한여름에도 물에 빠지거나,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출할 때 선글라스와 함께 항상 자외선차단제를 바르고 다녀야 한다.알비노를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돌연변이 유전자다. 알비노들은 피부 안에 정상적인 멜라닌생성세포를 가지고 있지만 세포 안에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학시험만 보면 배가 아프다던가 머리가 멍해진다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은 평상시에 편안하게 연습을 하다가 막상 실전에서 과도한 긴장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연습을 실전처럼, 정확한 시간과 적당한 긴장감 속에서 반복 연습하는 것이다. 조금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적거나 정자의 질이 떨어질 때도 불임이 될 수 있다.이외에도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원인
도 상당하다. 이 중 정자에 문제가 있거나 여성의 나팔관이 막혔을 경우, 또는 수술이나 인공수정 같은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으면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도할 수 있다.이 시술법을 세계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핵융합이 일어났다는 직접적인 증거인 셈이다. 물론 핵융합로에서 핵융합 외의
원인
으로 중성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핵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중성자에는 고유한 특성이 있어 핵융합의 결과물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바로 발생하는 에너지의 크기다.현재 KSTAR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