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組換)이 벤델의 유전법칙에 따라 표현되는 것을 기대하여 체계화시킨 육종법이다 따라서
유전자
형의 표현이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형질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감광도(感光度)가 ISO 200 이상의 사진촬영용 필름 사진촬영용 필름의 감광도 표시방법은 독일의 DIN, 미국의 ASA ... ...
ISS 과학실험 최종 리허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발했다”고 말했다.이날 고 씨와 이 씨는 아침 9시부터 저녁 7시까지 우주에서 초파리
유전자
변화를 알아보는 실험을 비롯해 제올라이트 결정 성장 실험 등 훈련 일정을 소화하느라 녹초가 됐다. 하지만 국내에서 머무는 일주일 동안 18가지 과학실험을 눈감고도 해낼 수 있을 정도로 실험내용과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1986년 연구자들은 생쥐에서 프리온 단백질
유전자
를 찾아냈고 1990년대 초 프리온의 구조를 밝혔다. 그 결과 스크래피나 CJD에 걸린 뇌조직에 있는 프리온 단백질은 정상적인 뇌조직에 있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이 동일하지만 입체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 ...
우주인과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씨는 이번 방문 기간에‘지구 대기 관측’,‘우주환경에서 초파리의 중력 및 노화
유전자
연구’등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실험을 미리 연습합니다. 1월 12일에는 한국을 떠나 미국 존슨우주센터에서 1주일간 국제우주정거장 모듈의 구조와 통신 방법에 대해 교육받을 예정이에요. 마지막으로 ... ...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연구팀은 먼저 흰색 터키쉬 앙골라 고양이의 피부세포에서 붉은 형광빛이 나도록
유전자
를 조작했어요. 이 세포로 수정란을 만든 뒤(체세포 복제),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켜 새끼고양이로 자라게 했지요.고양이는 친근한 애완동물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비슷한 유전병을 갖고 있어요. 그래서 이번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
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α입자(헬륨원자핵과 동일)를 방출하고 다른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례로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 생명공학자들은 이런 기능을 하는
유전자
회로를 다른
유전자
회로와 조합해 마치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생명회로 디자이너’ 등장할까?2003년에 미국 MIT의 생물학과와 전기컴퓨터공학과 연구원들은 ‘합성생물학실험’이라는 수업을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추측하는 방식입니다. 더욱이 잭슨연구소에서는 단일
유전자
를 밝히는 것에서 더 나아가
유전자
가 어떻게 상호작용 해 암을 일으키는지 밝힐 예정입니다.Q4 실험쥐 연구의 미래 비전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최근 쥐모델의 자원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렉시콘이나 델타젠 같은 기업과 세계적인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배열돼있는
유전자
가 감수분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면 염색체 위의 특정
유전자
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
유전자
’(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