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못해 암세포처럼 끊임없이 증식한다. 연구단이 TUT4를 발견한 일은 마이크로RNA의 작용을
조절
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전문가들은 마이크로RNA를 인공적으로 만든 뒤 세포 안에 넣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인공 마이크로RNA는 원래 몸속에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배합. 보통 밀가루 100에 소금물 50을 넣는다. 이때 온도와 습도에 따라 소금물의 농도를
조절
하는 일이 중요하다.사누끼에서는 소금이 1일 때 물을 여름에는 3, 겨울에는 6의 비율로 섞은 소금물을 사용한다. 여름에는 습도가 높아 물을 많이 넣으면 질어진다. 이처럼 날씨나 밀가루의 상태에 따라 간을 ... ...
2. 재료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자를 들고 A4 용지의 크기를 재보면 너비 210mm에 길이 297mm라는 걸 알 수 있어요. 조금씩만
조절
해 200mm×300mm로 만들면 알아보기 쉬울 텐데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고 보기에 아름답다는 황금비도 아니군요. 황금비는 가로세로의 비율이 1 대 1.618인데, A4는 1 대 1.414이니까요. 대체 A4 용지 크기엔 무슨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것으로 예상된다.정준호, 심호섭 교수는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에 소속돼 면역거부반응
조절
이 가능한 돼지와 이종장기이식용 면역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다. 박정규 교수는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에 참여해 무균 미니돼지의 유지관리, 이종장기이식의 동물실험과 임상시험 적용을 위한 연구를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같은 생식세포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하고, 착상 후 자궁 내 환경도 세밀하게
조절
해야 해 여간 까다롭지 않다. 임신율이 10%에도 못 미치기 일쑤다. ILRI의 가축유전학자 오케요 므와이 박사팀은 최근 체외수정 기술을 배웠다. 바로 한국인 과학자들에게서 말이다. 그 기술로 임신에 성공한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주에는 32℃로 유지하기도 했다. 앞으로 온도를 조금씩 더 낮출 예정이다. 스스로 체온을
조절
할 수 있게 되면서 그만큼 외부 온도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2시간 이상 일하면 현기증지노와 지노2가 사는 인큐베이터가 있는 공간을 연구팀은‘아이솔레이터실(격리실)’이라고 부른다. 이곳에서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교란되고 스트레스로 인한 위궤양, 신경쇠약 등으로 결국 죽음을 맞는다.개체 수를
조절
하거나 수정 확률을 높이기 위해 상대방을 괴롭히는 짝짓기도 있다. 노란 바나나를 닮은 바나나슬러그(Ariolimax dolichophallus)가 짝짓기 하는 모습을 보면 마치 바나나 2개가 붙어 있는 것처럼 탐스럽지만 사실은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상당부분 해소됐다. 드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에 따라 질량이 있는 입자인 전자의 속도를
조절
해 수십nm의 파장을 만들어 물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인플루엔자의 병원체가 바이러스로 밝혀진 것도 전자현미경 덕분이다. 그럼에도 전자현미경은 많은 한계가 있다. 영상을 얻으려면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빛의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진다는 사실이다. 함 교수는 “EIT를 이용하면 빛의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며 “이런 ‘느린 빛’을 활용하면 광신호를 기존 방식을 대체하는 정보처리 신호로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1999년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는 EIT를이용해 빛의 속도를 초속 30만km에서 초속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한다. 어느 한 해에 꽃이 많이 피면 이듬해엔 적게 핀다. 나무 스스로 생산량을
조절
한다는 뜻이다. 호르몬 분비량이 달라지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안정적인 수입을 원하는 농민 입장에선 참 난감한 일이다.최근 해걸이 현상이 덜 일어나는 새로운 품종 ‘홍로’가 개발돼 시장에 나왔다.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