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2~3월까지 지속돼요. 그런데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점점 더 빨리 발생하고 있어요. 올해는 지난 10월 15일에 처음으로 미세먼지가 발생했고, 11월 초에 고농도 미세먼지가 찾아왔지요. 이처럼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면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는데, 올해는 작년보다 한 달 반 정도나 빨리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지난 11월 2일, 전세계 메이커들이 모이는 대만 메이커 페어 현장에 한국 어린이들이 등장했어요! ‘하인슈타인-소프트웨어교육’ 대회에서 우승을 거머쥔 우승팀 팀원들이지요. 탐방 대원들과 함께 대만 메이커 현장과 첨단 기술 연구소로 가 미래 기술을 만나 볼까요? 응급차를 더 빠르고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지나가는 실크로드가 또 없는지 알아봐야겠어! 중국과 대만, 해저터널로 이어질까? 지난 8월 6일, 홍콩의 매체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이 대만과 연결할 해저터널 설계안을 완성했다고 보도했어요. 설계안에 따르면 중국과 대만 사이에 놓일 해저터널의 길이는 총 135km로, 현재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에라스무스대학교 캔 잉스 교수, 노르웨이 트롬쇠대학교 라스 포코우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012년 열화상 카메라로 순록의 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순록의 코에서 열이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순록의 코에 있는 모세혈관이 사람보다 25% 더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요.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자랑했지요. 새턴V 아래에는 삼엽충 등 다양한 화석이 층층이 쌓여 있었어요. 작가는 “지난 겨울 태백에서 삼엽충 화석을 캤다”며, “겨울은 망치로 돌을 깨도 땀이 안 나 화석을 캐기 좋은 계절”이라고 설명했지요. 또다른 장식장엔 초등학생 시절부터 모았다는 곤충 표본과 직접 구입한 ... ...
- Part 2. 스마트팜, 미래엔 농사도 두뇌 노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스마트폰으로 물을 뿌리는 등의 명령만 하면 피해를 피할 수 있지요. 이 기술로 키워 지난 8월에 처음 수확된 포도도 폭염 피해를 빗겨갔어요. 축산 농가도 이 기술이 절실해 충청남도 당진의 농장이 도입하기로 했어요. 동물농장은 사람과 멀리 떨어져 있는 데다 동물이 열에 약해 더위에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발전시켜 인류가 우주로 가는 데 한몫을 하고 싶어요. Q 그게 실현 가능한 이야기인가요?지난 1월 텔로팜이 MEMS 기술로 아랍에미리트 ‘2018 아부다비 지속가능주간’의 기후혁신협약 혁신농업부문에서 환경부장관상을 받았어요. 아랍에미리트는 사막이 많고 기온이 40~50℃로 높아서 화성 농업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현재 우주에는 ISS 말고도 우주정거장이 하나 더 있다. 중국에서 발사한 ‘톈궁-2’로, 지난 2016년 10월 우주인 2명을 태운 ‘선저우 11호’가 톈궁-2에 도킹한 뒤 30일 동안 머무는 데에 성공했다. 이후 중국은 여러 개의 우주선을 서로 결합시켜 하나의 ‘거대 모듈 우주정거장’을 지구 궤도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전기와 물을 만드는 거예요. 영국의 바스대학교 화학공학과 미렐라 디로렌조 박사팀은 지난 2016년 오줌을 넣으면 세균이 반응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개발하기도 했답니다. ● 스토리 “으악, 아무래도 아저씨를 따라잡긴 어렵겠어.” “어떻게 해야 하지?” 그때였어요. ‘우르르 쾅쾅 ...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케플러가 임무를 마친다고 해서 외계 행성을 찾는 일이 아예 멈춘 건 아니에요. NASA는 지난 4월, 케플러의 임무를 이어받을 우주망원경 ‘테스(TESS)’를 발사했어요. 테스는 가동한 지 한 달 만에 행성계를 거느리는 별을 70개 이상 찾아내는 등 활약하고 있지요. NASA는 “앞으로 지구와 크기가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