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궤도를 돌며 상공에서 조사를 벌이는 탐사선과 달리, 로버는 천체의 토양과 암석을 직접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사가 가능해요. 반면 고장의 위험이 크며, 조사 범위가 넓지 않다는 단점도 있답니다. 로버 중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한 ‘오퍼튜니티’도 14년 동안 약 45km밖에 움직이지 못한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의해 관 벽에 낀 녹과 물때가 제거되는 거예요. 이외에도 공기를 밀어 넣거나 기계를 직접 관 속으로 넣는 방법도 있어요. 물을 이용한 청소보다 효과는 뛰어나지만 비용과 인력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답니다. 녹이 덜 생기는 관으로 바꾸자상수도관의 녹을 아예 막을 순 없어요. 땅의 압력과 ... ...
- [출동!기자단] LG CLOi와 랄라큐브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기자단 친구들은 클로이로 랄라큐브의 조립방법을 배우며 로봇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직접 코딩해 로봇 얼굴에 원하는 문자를 넣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명령도 내렸지요. “한쪽 바퀴가 돌아가지 않아요!” 김태윤 기자가 도움을 요청하자 소리보따리 박지연 본부장님은 코딩 명령을 ...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5km 이내에 제주남방큰돌고래 130~140마리가 살고 있다”며, “우리 연구소에서는 돌고래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거나 드론, 수중소리감지기 등을 통해 돌고래의 행동과 생활사를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이날 학생들은 하정주 연구원과 함께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 해안에서 돌고래를 ... ...
- 소프트웨어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명이 넘는 서울 시민들이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직접 참여한다면 공기가 깨끗해지는 날이 더 빨리 오지 않을까요? 시민들을 움직여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소프트웨어도 해커톤에 등장했답니다! 먼둥아, ‘미세먼지 불쾌지수’ 알려줘! 옆 테이블에서는 납땜을 하고 천장에는 드론이 ... ...
-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농업연구사님들은 비닐하우스에서도 바로 보일 정도로 가까운 귀산초등학교에서 직접 음식물 쓰레기를 가져와 연구용 동애등에를 기르고 있었어요. 파리목 동애등에과의 곤충인 동애등에는 가축을 기르며 나오는 배설물부터 음식물 쓰레기까지 다양한 유기물을 먹이로 활용하기 때문에 폐기물 ... ...
- [출동!기자단] 수중 동물 친구들을 만나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체험도 해볼 수 있었답니다. 김남우 기자는 “펭귄과 가까이에서 교감하고 먹이를 직접 주는 일은 처음 해봐서 신기하고 재밌었다”고 말했어요. 정영교 친구도 “아쿠아리스트 체험은 어과동 기자단만 할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이어서 유독 기억에 남는다”고 소감을 말해주었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베이커리’에 온 친구들, 모두 반가워! 이곳의 빵은 모두 내가 직접 만들지! 혹시 ‘겉바속촉’이라고 들어봤니?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다는 뜻인데, 내 빵에 딱 어울리는 단어야. 비결이 뭐냐고? 바로, ‘효모’에 있단다. 효모(酵母, yeast) 빵을 만들 때 ‘효모’라고 불리는 가루를 넣는 것을 ... ...
- 음식물 쓰레기에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이 초등학교에 음쓰가 쌓이게 된 걸까요? 무슨 일이 생긴 건지 알아보기 위해 제가 직접 급식 현장을 찾았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음식물 쓰레기에 무슨 일이?Part 1. 음식물 쓰레기 왜 쌓이나?!Part 2. 음식물 쓰레기 어디로 갈까?Part 3.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장을 가다!Part 4 ... ...
- [지구사랑탐사대] 보고, 듣고, 맛보는 특산식물 현장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냄새도 맡아보고, 어금니로 씹으면 알싸한 생강맛이 나는 ‘생강나무’도 직접 맛보았지요. 이날 현장교육을 마치며 정금선 박사님은 지사탐 대원들에게 “특산식물은 우리나라에 적응해서 살아온 특별한 식물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환경 변화를 알려주는 중요한 존재”라고 강조했어요. 이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