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가득 메운 관중 가운데 한 사람을 찾는 일보다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퀘이사를
찾기
란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인 셈이다.특히 기피영역 가운데 기피영역이라 할 수 있는 곳(은하적도에서 10° 이내)에서는 그동안 밝은 퀘이사가 10개만 알려져 있었다. 임 교수팀은 이 영역에서 밝은 퀘이사를 1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비는 약 2512와 같다별자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간이성도(簡易星圖) 별자리(
찾기
)판이라고도 한다지구상의 어떤 위도(緯度)에서 볼 수 있는 범위의 천구도를 한 장의 원반에 그리고, 그 위에 타원형의 구멍 뚫린 다른 원반을 겹쳐 놓은 것인데, 타원형의 구멍은 어느 시각의 가시천구의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깊게 살펴 보자.먼저 눈에 띄는 천체는 금성이다. 금성은 수성보다 밝고 고도도 더 높아
찾기
가 훨씬 쉽다. 금성을 길잡이로 삼아 수성을 찾는 방법도 좋다. 둘 사이의 거리는 날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5도에서 10도 사이로 매우 가깝다. 금성에서 지평선 방향으로 서쪽으로 비스듬히 내려가면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둘러보면 푸른 눈과 금발을 가진 외국인은 있어도 푸른 눈과 금발을 가진 한국인은
찾기
힘들다. 일찍이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지구상의 다양한 인종은 위도에 따른 적응 반응일 뿐’이라고 말했듯이 인종에 따라 열성을 가진 비율이 다른 이유는 인간이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했기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곳의 좌표를 알려주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널리 사용한다. 휴대전화의 친구
찾기
기능이나 자동차 네비게이션, 세계지도 위에 비행기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여객기 내부의 화면도 GPS를 이용한다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지난해 12월 22일 동물보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국내 실험동물의 ‘권리’
찾기
에 물꼬가 트였다. 한마디로 ‘무법지대’?“쥐꼬리를 잡아 바닥에 내동댕이쳐서 죽인다더군요.”한 수의학자가 혀를 차며 말했다. 그에게 이렇게 말한 사람은 실험동물을 다루는 생명과학자였다. 그는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50마리로 늘어난 상태다.또 사람들은 돼지의 장기로 손상된 인체 기관을 대체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가축 중에서 돼지가 사람과 가장 비슷한 덩치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실제 돼지의 심장, 췌장 등의 장기는 사람의 장기와 크기가 거의 같다.문제는 돼지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할 때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정보를‘척’하고 알아내는 GPS 서비스가 있다. 실제로 호주에서 사용하고 있다.미아
찾기
부터 야생동물 관리까지. 정말 바쁘다 바빠〜미아 없는 세상을 위해 GPS가 나섰다. 아이의 몸에 송신기를 달면 엄마가 갖고 있는 GPS에 아이가 어디 있는지 표시된다. 야생 동물의 몸에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 ...
문어 피부에 숨은 '3D 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적을 피해 바위틈에 숨는다. 숨은 문어를
찾기
란 쉬운 일이 아니다. 보호색 덕분에 문어가 진짜 바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문어의 보호색은 어떻게 생겨났을까.미국 매사추세츠 해양생물연구소의 로저 한론 교수팀이 문어의 보호색을 만드는 물질을 밝혀냈다고 지난 12월 8일자 ‘네이처’ 온라인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빛의 100만분의 1도 안된다.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
찾기
를 ‘서치라이트 옆의 반딧불이
찾기
’라고 하는 것도 그런 이유다. 하지만 적외선을 사용하면 행성과 항성의 밝기 차이가 1000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 관측이 가능해진다.연구팀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웁실론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