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그중 가장 잘 알려진 연구는 미적분법의 발명이에요. 그는 1673년, 미분 공식을 확립해 발표했어요. 그런데 이 소식을 들은 뉴턴이 미분의 첫 발명자는 자신이라고 항의했어요. 약 7년 전인 1665년 10월, 홀로 물체의 운동을 연구하다 미분을 발명했다는 것이죠.둘의 논쟁은 누가 미적분 발명의 우선권을 ... ...
- [시사 과학] 직접 맞아 봄! 코로나 19 백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한 나라에서 70% 이상이 백신을 맞는 집단 면역을 달성하려면 청소년과 어린이도 접종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맞서고 있습니다. 어과동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S Bhopal, 2021 토론터어린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맞짱 토론! 136쪽 토론터를 확인하세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코딩 기초 코드작성기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한 뒤 ‘파일 저장’을 누르세요. 파일 경로를 지정한 뒤 저장해 주세요. 세 번째 코드 불러오기 작성한 코드가 사라졌거나 다른 컴퓨터에서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 경우 저장된 코드를 가져오면 돼요. ➊ 코드작성기의 왼쪽 위에 [처음 화면] 버튼을 눌러 처음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점이에요. 보통 건물을 지을 때는 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기둥이 꼭 필요해요. 건물이 커지면 건물을 받쳐주는 기둥의 개수도 많아져야 하고요. 그런데 워터큐브는 면적이 축구경기장의 10배만큼 큰데도 기둥이 하나도 없어요. 덕분에 기둥이 있었다면 사용하지 못했을 공간까지 ... ...
- 우동수비대 지역특파원, 어떤 일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다른 대원 분들도 열심히 활동해주면 좋겠어요! 7월 8일 저녁 7시 2기 발대식 시청해 주세요! 유튜브 ‘동아사이언스’에서 1기 보고&2기 발대식이 열립니다! 2기에서는 수의과대학생 멘토 48명도 함께합니다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암호화폐는 우리끼리 거래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만, 중간관리자가 없어 잘못 돈을 송금하면 되찾을 수 없고, 거래소 해킹 등의 문제가 남아 있어. 미래 화폐로…, ... 여러 활용 가능성을 열어두고, 미래 세대의 무한한 상상으로 앞으로 암호화폐를 함께 완성해나갔으면 좋겠어요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덥고 습한 날씨에 입맛이 사라진 섭섭박사님! 축 늘어진 채 아무것도 하기 싫은 기분인데…. 도저히 안 되겠다! 섭섭박사님은 맛있는 군것질을 요리 ... 직접 해본 뒤 실험 사진을 어과동 홈페이지 에 올려 주세요. 응모해 준 친구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 [인터뷰] ‘어펜져스’ 맏형을 만나다, 승리 비결은 집중 또 집중!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 운동선수는 반드시 고되고 긴 훈련을 하게 돼요. 그럴수록 훈련을 즐기려고 노력해야 해요. 훈련이 힘들다고만 생각하면 운동이 재미없어지고 지치거든요.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운동을 실컷 할 수 있는 ‘신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게임을 하듯 친구들과 혹은 나 자신과 내기를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부르지요. 수학자들은 점, 선, 면 그리고 공간을 구분할 때 ‘차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해요. 작고 작은 마을처럼 점 혼자 있는 세계를 ‘0차원’이라고 하지요. 점과 점이 만나 선이 생긴 세계를 ‘1차원’, 더 많은 점이 모여 면을 이뤘지만 아직 납작한 세계를 ‘2차원’이라고 불러요. 지금 우리가 ... ...
- [수콤달콤 연구소] 수콤달콤 베이커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계산식에 쓰이는 수가 많아지면 조금은 복잡하게 보이기도 해요. 하지만 원리를 알면 금방 규칙을 찾아낼 수 있어요.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