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뉴스
"
시각
"(으)로 총 2,72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리 눈을 감쪽같이 속이는 선물상자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5.22
통해서 세상을 봐요. 눈이 보내 준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곳은 뇌예요. 눈의 망막에 맺힌
시각
정보는 시신경을 통해서 머리의 뒤통수에 있는 뇌의 부분인 후두엽으로 전달돼요. 여기서 뇌는 이전의 기억을 활용하거나 주변의 상대적인 색깔이나 크기를 비교하면 =서 물체의 생김새를 파악하지요. 즉, ... ...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특성을 생물체에서 확인했으며 그 효과가 광합성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21일(현지
시각
) 학술지 ‘네이처 화학’에 발표했다. 박테리아의 분자복합체에서 양자중첩이 일어나는 것을 묘사했다 녹색원과 노란원으로 표현된 두개의 분자복합체가 외부에서 온 빛에 의해 양자중첩이 ... ...
국내 연구팀, 집단지성으로 ‘뇌 지도’ 발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등 질병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배경에는 더 큰 목적이 있다. 장차
시각
특화 뇌지도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건물 구조를 알기 위해 곳곳에 사용된 건축자재가 유리인지 철근인지 파악했다면, 이제는 이들이 연결된 구조를 조사해 진짜 구조를 볼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책임자-신진연구자 온도차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20
분야를 연구할 자유가 있다는 신진과학자 역시 70%대로 PI의 주장과 차이를 보였다. 가장
시각
차가 큰 주제는 실험 자료(raw data)를 PI가 점검하는지 여부였다. PI의 90%가 실험 자료를 본다고 답했지만, 신진과학자들 중 자신의 PI가 실험 자료를 본다고 답한 사람은 57%에 불과했다. 네이처는 PI와 ... ...
성공하는 소개팅 비결, 과학으로 알아보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5.18
때 사진 속 표정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뇌파 연구를 통해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를 뇌의 같은 부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두 감각이 통합돼 상승효과를 내는 게 이유라는 사실도 밝혔다. 일단 커플로 맺어지면, 다음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게 관건이다. 중요한 ... ...
빅뱅 후 5억년 만에 이미 은하 있었다...133억년 전 초기은하 존재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빅뱅 이후 5억년이 흐른 시점인 133억년 전 초기 은하에서 나온 것임을 증명, 16일(현지
시각
)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은하는 MACS1149-JD1라 명명됐다. 연구팀은 칠레에 있는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알마(ALMA)를 이용해 지난 2012년 장파장의 빛을 발견했다. 이들은 적색편이 값을 분석, 이 빛이 약 ... ...
원자력硏 상임감사에 탈핵운동가 내정설 시끌…반대 국민청원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분이라면 상관 없다. 다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인해 왜곡된
시각
으로 기관 운영을 과도하게 간섭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우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5일 원자력연 노조는 원광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과의 면담도 가졌다. 하지만 연구회는 “‘낙하산 ... ...
[이강운의 곤충記] 우아한 나비의 독점적 번식욕
2018.05.16
수컷과 짝짓기 할 수 없도록 만든 물리적 장벽이며 암컷이 이미 교미(交尾)를 했다는
시각
적 신호이다. 흔히 수태낭(受胎囊)으로 지칭되지만 수태(受胎)는 수정과 같은 의미로 난자와 정자가 결합한 상태를 말하므로 ‘수태낭’이 아니라 ‘짝짓기 후 만들어진 봉인’이다. 붉은 원이 ... ...
창의력 비결은 잠...수면 중 기억-창의력 관계 모델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8.05.16
의견이 제시됐다. 영국 카디프대 신경과학과 페넬로프 루이스 교수는 지난 15일(현지
시각
) 학술지 ‘신경과학의 경향’에 실은 ‘수면 때 얼마나 기억이 반복돼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촉진되나’라는 리뷰논문을 통해 “렘 수면과 비렘 수면 두 가지 수면상태가 협력해 기억을 정리하고 ... ...
최고의 축구선수는 '방향전환' 능력이 판가름?
동아사이언스
l
2018.05.15
측정한 결과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빠른 방향전환 능력으로 확인됐다고 15일(현지
시각
)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피지오러지(Frontiers in Physiology)’에 발표했다. 스필트대 신체운동학과 다미르 세쿨릭 교수는 "축구선수들은 상대 선수를 피하기 위해 운동경기 중 방향 전환과 함께 속도조절을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